목차
차 례
강의에 앞서
1강 프리드리히 니체의 『도덕의 계보』
고통과 포월의 역설:
“만신전에 자신의 전설을 기록하라!”
니체의 신통기『 도덕의 계보』
신은 어디서 태어났는가?
신은 어떻게 신이 되었는가?
신은 어떻게 인간을 지배했는가?
신은 왜 죽을 수밖에 없었는가?
신의 죽음 이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당신은 어떻게 살고 있는가?
함께 볼 만한 도서
2강 쇠렌 키르케고르의 『공포와 전율』
불안과 자유의 역설:
“미지의 불안에서 자신을 독대하라!”
당신은 누구입니까?
우리는 왜 절망하는가?
어떻게 절망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인간 실존의 세 단계: 관능적 실존, 윤리적 실존, 종교적 실존
종교적 실존의 세 단계
비극적 영웅, 무한한 체념의 기사, 신앙의 기사
불안과 확신 사이에서
함께 볼 만한 도서
3강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유한과 무한의 역설:
“삶이 죽이고, 죽음이 살린다!”
도대체 왜 없지 않고 있는가?
왜 "존재"와 "시간"인가?
존재와 시간의 공속으로
도구세계와 현존: 망각된 진리의 탈은폐
인간세계와 현존: 익명성으로의 타락
양심의 부름에 응답하라
유한 속의 초월
함께 볼 만한 도서
4강 알프레드 아들러의 『삶의 의미』
깊이와 높이의 역설: “인정 욕구는 노예근성이다!”
우리는 왜 지옥에 살고 있는가?
인간의 행위를 분석하는 두 방법: 원인론과 목적론
목적론적 해석의 두 형태: 열등감과 열등 콤플렉스
열등 콤플렉스에서 벗어나는 두 방법: 과제 분리와 사회적 관심
사회적 관심(공동체 감각)의 세 조건:
자기 수용, 타자 신뢰, 타자 공헌
함께 볼 만한 도서
5강 G. W. F. 헤겔의 『정신현상학』
절망과 회복의 역설:
“아름다운 영혼은 아름답지 않다!”
착한 사람과 착한 사람 증후군
선악의 열매: 비극인가? 축복인가?
무지함의 죄
나약함의 죄
아름다운 영혼과 죄의 필연성
아름다운 영혼은 아름답지 않다
죄의 고백과 용서 그리고 사랑
모든 용서는 아름다운가?
함께 볼 만한 도서
6강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
독립과 통합의 역설:
“혼자일 수 없으면 사랑할 수 없다!”
『사랑의 기술』은 누구를 위한 책인가?
왜 사랑을 배우려 하지 않는가?
왜 사랑하려고 하는가?
왜 진정한 사랑에 실패하는가?
진정한 사랑이란 무엇인가?
사랑을 어떻게 배울 수 있는가?
함께 볼 만한 도서
7강 존 롤스의 『정의론』
사랑과 정의의 역설:
“칼레의 시민은 무엇을 보았는가?”
헬조선이라는 말에 동의하십니까?
공정한 경쟁에 의한 불평등은 정당한 불평등이다?
공정한 분배 규칙을 마련하기 위한 절차적 정의
최대 만족의 원리인가? 최소 고통의 원리인가?
정의의 두 원칙: 동등의 원칙과 차등의 원칙
칼레의 시민은 무엇을 보았는가?
『정의론』을 둘러싼 논쟁의 최전선
함께 볼 만한 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