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Ⅰ. 불교는 어떻게 ‘종교’가 되었는가?
1. 개념사적 연구의 필요성
2. 근대 한국불교의 시기 구분: 연속성과 불연속성
3. 근대가 가져온 종교 개념, 그리고 불교의 변화
4. 책의 구성과 내용
5. 선행연구, 그리고 남는 과제들
Ⅱ. 근대 종교 개념의 형성과 전개
1. 종교 개념이 왜 중요한가?
2. 종교 개념과 제기되는 문제들
3. 캔트웰 스미스의 종교 개념 비판
4. ‘종교’에 대한 성찰적 전환: 캔트웰 스미스를 넘어서
5. 종교 개념 연구사의 결론과 의의
Ⅲ. 서구 근대불교학의 출현과 ‘부디즘’의 창안
1. 근대불교학과 오리엔탈리즘 산물로서의 ‘부디즘’
2. 동아시아의 불교: ‘불법(佛法)’에서 ‘불교(佛敎, Buddhism)’로
Ⅳ. 근대불교(Modern Buddhism)의 다양성
1. 근대불교란 무엇인가?
2. 도날드 로페즈의 근대불교론
3. 서구 근대불교의 형성과 특징
4. 아시아 근대불교의 전개 양상
Ⅴ. 조선시대 불교는 억압되었나?
1. ‘정교분리’ 개념 적용과 두 가지 문제의식
2. ‘숭유억불’의 오해와 진실
3. ‘교(敎)’와 ‘삼교(三敎)’, ‘이단(異端)’과 ‘사교(邪敎)’로서의 불교
4. 국가와 불교의 관계 - 전근대 시기 종교와 세속은 분리되었는가
5. 조선시대 불교 인식의 계승과 단절
Ⅵ. 근대불교는 어떻게 유교의 대안이 되었나?
1. 근대 한국의 종교적 상황
2. 근대 한국불교계의 유교 인식: ‘철학’과 ‘윤리’로서의 유교
3. 동아시아 근대 사상가들의 불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Ⅶ. 일본불교, 동지인가 적인가?
1. 일본 근대불교의 동향
2. 이노우에 엔료와 일본불교의 ‘근대종교’ 만들기
3. 근대 한국불교에 미친 일본불교의 영향
Ⅷ. 기독교, 불교의 경쟁자이자 조력자
1. 한국불교와 기독교의 만남
2. 불교의 기독교 인식
3. 종교 개념의 등장과 불교의 ‘종교 정체성’ 인식
4. 불교개혁운동의 전개와 기독교
Ⅸ. 한국불교 전통의 발견과 조계종의 탄생
1. 한국불교 종단 설립과 한국불교의 원형 탐구
2. 한국불교 성격론의 역사적 배경
3. 한국불교 성격론의 등장과 전개
4. 한국불교 성격론과 전통의 발견
Ⅹ. 한국불교의 근대적 종교 정체성 형성
1. 근대 일본에서 ‘종교’와 ‘세속’의 형성
2. 근대 한국에서 ‘종교’와 ‘세속’의 형성
3. 근대 한국불교에서 ‘세계종교’ 및 ‘종교의 본질’ 담론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 출전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