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특수아 상담의 기초
1장 특수아 상담의 정의 및 필요성
1. 특수아 상담의 개념
2. 특수아 상담의 목적
3. 특수아 상담의 유형
4. 특수아 상담의 원리
5. 특수아 상담의 특성
2장 특수아의 정의와 분류
1. 특수아의 정의
2.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의 차이
3. 특수아의 분류
3장 특수아 상담사의 역할
1. 상담사의 기본 자질
2. 상담 장면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
3. 특수아 상담사의 실제적인 역할
2부 특수아 상담을 위한 내담자 이해
4장 지적장애 및 자폐성장애
1. 지적장애
2. 자폐성장애
5장 학습장애 및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1. 학습장애
2.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6장 감각장애, 신체장애
1. 시각장애
2. 청각장애
3. 지체장애 및 건강장애
7장 정서 및 행동장애
1.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
2.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
3.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의 특성
4.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을 위한 상담사의 역할
8장 의사소통장애
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2. 의사소통장애의 분류
3.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4. 의사소통장애 아동의 특성
5.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상담사의 역할
3부 상담의 이론
9장 정신분석상담
1. 프로이트의 생애
2. 정신분석상담의 인간관
3. 정신분석상담의 주요 개념
4. 정신분석상담 과정과 기법
5. 정신분석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6. 정신분석상담을 적용한 특수아 상담
10장 인지행동이론
1.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
2. 벡의 인지치료
3. 마이켄바움의 인지행동수정
4. 인지행동상담이론의 공헌점과 비판점
5. 인지행동상담을 적용한 특수아 상담
11장 수용전념치료
1. 헤이즈의 생애
2. 수용전념치료의 인간관
3. 수용전념치료의 주요 개념
4. 수용전념치료의 상담 목표
5. 수용전념치료의 공헌점과 비판점
6. 특수아 상담에 적용하기
12장 인간중심 상담이론
1. 로저스의 생애
2.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인간관
3.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주요 개념
4. 상담 과정
5. 공헌점과 비판점
6. 특수아 상담에 적용하기
13장 행동주의 상담
1. 행동치료의 발전 과정
2. 행동주의 상담의 인간관
3. 행동주의 상담의 주요 개념
4. 상담 과정 및 기법
5. 공헌점과 비판점
6. 특수아 상담에서 행동주의 상담 적용하기
14장 현실치료이론
1. 글래서의 생애
2. 현실치료의 인간관
3. 현실치료의 주요 개념
4. 상담 과정 및 기법
5. 공헌점과 비판점
6. 특수아 상담에서의 현실치료의 적용
4부 상담의 실제
15장 특수아 및 학부모 상담 과정
1. 특수아 상담 과정
2. 특수아 상담 초기에 필요한 요소
3. 상담 중기에 필요한 요소
4. 상담 종결 시기에 필요한 요소
5. 특수아의 부모상담
16장 특수아 상담의 실제 및 사례
1. 개인상담의 실제
2. 집단상담의 실제
3. 장애아 진로상담의 실제
4. 장애를 겪는 내담자 상담 사례
별첨자료: 보건복지부(2013) 발달장애인 부모상담지원 매뉴얼 (제공기관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