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책을 내면서
1부 젊은 시절, 통일 화두 잉태와 통일 인생
2부 정부에서의 통일 화두 추구
통일 업무를 위해 북한 공부부터
통일부 조직 역량 강화가 필요
1990년대 초 교류협력국 신설과 남북 교류 진전
남북 여성 교류 행사
남북 교류협력 관련, 남북한 접근 방법의 차이
남북 이산가족 교류와 한계
남북고위급회담, 합의 사항 이행의 무산
북한의 협상 행태
김영삼 정부에서의 남북 관계 딜레마
비전향장기수, 납북자·국군포로 문제
북한이탈주민 문제와 통일정책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경수로 사업
경수로 현장에서의 사건·사고의 사례들
경수로 사업의 촉진 요인과 억제 요인
나의 경수로 사업 마지막 활동, 사업 중단과 소회
대북 인도적·경제적 지원과 정책 논쟁
워싱턴 D.C.에서의 객원연구원 생활
미국 클린턴 행정부와 부시 행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
상근회담대표로서의 활동
남북 군사회담의 이슈들
나의 기획관리실장 시절 3대 업무 과제
남북 체육회담 대표
노무현 정부 말, ‘남북정상회담’과 ‘적십자회담’ 등 경험
통일부 차관으로서의 첫 한 달
통일부 폐지론
차관 재임시 남북 관계 전개 과정과 분석
차관 재임 시 발생한 잊을 수 없는 사례들
남북정상회담 추진 관여
3부 공공 기관에서의 통일 화두 추구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이사장(겸 관리위원회 위원장)에 임명되면서
우리 기업, 주재원들과의 협력 체계 구축
개성공단에서의 북측의 입장·태도
개성공단 ‘잠정 중단’ 위기 상황의 전개 과정
개성공단 생산품 반출과 진풍경의 수송 행렬
우리 측의 개성공단 전면 철수 조치
개성공단 재가동
4부 민간에서의 통일 화두 추구
공직 생활 마감과 대학에서 강의로 새 출발
나의 통일 강의록
독일 통일 과정에 대한 인식 변화와 교훈
분야별 남북 통합 과제 연구
민간 통일단체 참여 활동
5부 끝 맺음: 새로운 통일 화두 모색
김정은의 두 개 국가론
최근 통일 환경의 진단과 우리의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