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Ⅰ. 왜 사주를 간지로 읽어야 하는가?
1. 이 책을 쓰게 된 이유 3
2. 간지 해석의 새로운 가능성 12
Ⅱ. 음양오행과 간지
1. 음양오행 23
1) 감응과 패턴 25
2) 음양오행의 운동성 28
2. 사주명리학 33
1) 사주명리학의 특성 33
2) 사주명리학의 형성 36
3) 사주 해석 39
3. 간지 45
1) 간지의 언어적 상징성 45
2) 천간과 지지의 상징성 51
Ⅲ. 전통 사주 해석의 틀과 구조
1. 일간과 월지 중심 83
1) 일간 중심의 해석 85
2) 월지 중심의 해석 93
3) 월지의 운동성 99
2. 운의 작용 105
1) 명(命)과 운(運) 105
2) 대운과 세운 107
3) 운의 변화와 사건의 적용 112
3. 조후와 편중성 117
1) 조후 117
2) 오행과 육친의 편중성 123
3) 무자(無字)의 해석 133
Ⅳ. 운동성으로 살펴본 간지
1. 천간의 운동성 139
1) 천간의 12운성 이해 139
2) 12운성의 작용 149
2. 지지의 운동성 156
1) 지지의 환경과 지장간 156
2) 지지 간의 관계 161
3. 운동성의 주체와 상호작용 181
Ⅴ. 간지의 운동성에 근거한 사주팔자 재해석
1. 육친 관계의 재해석 175
1) 고정된 의미를 넘어서 176
2) 육친의 불안정과 지지와의 관계 180
3) 간지의 운동성으로 바라본 육친 관계 186
2. 간지의 편중성과 무자(無字) 재해석 192
1) 편중된 간지 192
2) 무자(無字) 198
3) 두 사람 사주의 간지 상호작용 205
3. 간지로 보는 시간의 작용 211
1) 타고난 명과 흘러가는 운의 관계 211
2) 대운의 조건과 사건의 해석 215
3) 세운과 육친 변화 해석 219
Ⅵ. 사주 해석의 확장적 의미
1. 자기 이해 225
2. 타자 이해 238
3. 공동체 이해 244
4. 사주 해석의 새로운 패러다임 250
References 256
Endnotes 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