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다문화 이해를 위한 접근
1. 용어와 개념………………………………………………… 021
1) 국적………………………………………………………… 022
2) 노동이주 …………………………………………………… 030
3) 문화………………………………………………………… 038
4) 이주 ……………………………………………………… 049
5) 인간안보 (Human Security) …………………………… 057
2. 다문화사회 이슈 …………………………………………… 069
1) 교육………………………………………………………… 069
(1) 한국어교육 ……………………………………………………074
(2) 이중언어교육 …………………………………………………079
(3) 다문화이해교육 ………………………………………………081
(4) 다문화교육 ……………………………………………………083
2) 노동………………………………………………………… 090
(1) 국제적 노력……………………………………………………091
(2) 한국의 노력……………………………………………………094
(3) 외국인노동자의 노동권 ………………………………………095
3) 복지………………………………………………………… 097
(1) 사회보장기본법 ………………………………………………099
(2) 이주민의 복지 ………………………………………………101
4) 사회통합 …………………………………………………… 104
(1) 이민자 사회통합 용어…………………………………………105
(2) 이민자 사회통합 목표와 정책…………………………………108
(3) 이민자 사회통합 지표…………………………………………109
(4) 이민자 사회통합 모형과 프랑스………………………………113
(5) 대한민국에서 사회통합 ………………………………………115
5) 인권 ……………………………………………………… 120
(1) 인권의 기원과 발전……………………………………………122
(2) 인권의 특성과 원칙 …………………………………………130
(3) 세계인권선언 …………………………………………………134
(4) 7개 국제인권협약 ……………………………………………135
(5) 국가인권위원회 ………………………………………………136
(6) 다문화사회와 인권 ……………………………………………137
(7) 외국인의 기본권과 권익보호 …………………………………141
6) 저출산과 고령화 ………………………………………… 146
(1) 저출산 · 고령화에 대응 ………………………………………149
(2) 저출산 · 고령화 관련 용어 ……………………………………150
7) (가칭) 이민청 설립 ………………………………………… 154
3. 정책과 이론 ……………………………………………… 157
1) 다문화정책 ………………………………………………… 157
(1) 다문화…………………………………………………………157
(2) 다문화사회 ……………………………………………………159
(3) 다문화사회 모형 ………………………………………………161
(4) 다문화정책 (Multicultural Policy) …………………………165
2) 문화다양성정책 …………………………………………… 173
(1) 문화다양성 ……………………………………………………173
(2) 문화다양성협약 ………………………………………………174
(3) 문화다양성정책 ………………………………………………177
3) 이민정책 …………………………………………………… 180
(1) 이론적 접근……………………………………………………180
(2) 이민정책 ………………………………………………………182
(3) 한국의 이민정책 환경…………………………………………185
4) 동화주의 (Assimilation) ………………………………… 188
(1) 동화주의 ………………………………………………………188
(2) 밀턴 고든 (Milton Gordon)의 동화 …………………………191
(3) 한국의 동화주의 ………………………………………………192
5) 다문화주의 (Multiculturalism) ………………………… 194
(1) 다문화주의 ……………………………………………………194
(2) 서구의 다문화주의 ……………………………………………199
(3) 한국의 다문화주의 ……………………………………………200
6) 상호문화주의 (Interculturalism) ……………………… 202
(1) 상호문화주의 …………………………………………………203
(2) 한국의 상호문화주의 …………………………………………208
제2장 시기별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
1. 타문화 접촉과 해외이주(개항기 이전부터 815해방) ………… 212
1) 타문화와의 접촉 …………………………………………… 212
(1) 개항기 이전……………………………………………………212
(2) 개항기 ………………………………………………………217
(3) 한반도를 다녀간 서구인의 시선………………………………218
2) 한민족의 해외이주 ………………………………………… 222
(1) 간도(間島) 지역 이주 …………………………………………222
(2) 연해주 지역 이주………………………………………………225
(3) 미주 지역 이주 ………………………………………………227
(4) 일본 지역 이주 ………………………………………………236
3) 주요 사상…………………………………………………… 237
(1) 사회진화론 ……………………………………………………238
(2) 단일민족론 ……………………………………………………240
2. 현대이민의 시작 (8·15해방부터 1980년대 전반) ……………… 244
1) 해외이주법 이전 …………………………………………… 244
(1) 미군정기 출입국관리 …………………………………………244
(2) 정부수립과 출입국관리 ………………………………………246
2) 해외이주법 이후 …………………………………………… 249
(1) 해외이주법 ……………………………………………………249
(2) 농업이민 ………………………………………………………251
(3) 노동이민 ………………………………………………………251
3) 전쟁고아 …………………………………………………… 255
(1) 북한의 전쟁고아 ………………………………………………255
(2) 남한의 전쟁고아와 고아수출 …………………………………257
4) 미국이민 …………………………………………………… 260
(1) 전쟁신부 ………………………………………………………260
(2) 미군아내 (US military wives) ………………………………262
(3) 현대 이민의 시작………………………………………………263
5) 국제관계 변화……………………………………………… 265
(1) 한일기본조약 …………………………………………………265
(2) 베트남 난민……………………………………………………266
(3) 중국과 공식 첫 외교 접촉 ……………………………………267
3. 이민자들의 유입 시작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 269
1) 이민 수용국으로 전환……………………………………… 270
(1) 결혼이민자의 유입 ……………………………………………271
(2) 재외동포의 유입 ………………………………………………274
(3) 외국인노동자의 유입 …………………………………………277
(4) 북한이탈주민의 유입 …………………………………………280
2) 산업연수생제도 …………………………………………… 282
3) 외국인노동자를 지원하는 시민단체 ……………………… 284
4) 재일한인 …………………………………………………… 288
4. 정책 도입기 (2000~ 2009년) ………………………………… 291
1) 재외동포법의 개정 ………………………………………… 293
2) 외국인노동자 도입 제도…………………………………… 295
(1) 고용허가제 ……………………………………………………296
(2) 방문취업제 ……………………………………………………297
(3) 불법체류자 단속 강화…………………………………………299
3) 이민 · 다문화정책의 추진 ………………………………… 300
(1) 외국인정책 ……………………………………………………302
(2) 다문화가족지원정책 …………………………………………305
4) 새로운 유입………………………………………………… 310
(1) 외국인유학생의 유입 …………………………………………310
(2) 고려인의 유입…………………………………………………311
(3) 난민의 유입……………………………………………………314
(4) 북한이탈주민의 유입 …………………………………………315
(5) 미등록체류자녀의 유입 ………………………………………316
5. 정책 발전기 (2010~2019) …………………………………… 318
1) 다문화가족지원정책 ……………………………………… 318
(1) 제1차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319
(2) 제2차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321
(3) 제3차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328
(4)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330
(5) 다문화가족실태조사 …………………………………………332
(6) 결혼중개업실태조사 …………………………………………334
2) 외국인정책 ………………………………………………… 336
(1) 제2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336
(2) 제3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343
(3) 외국인의 인권 개선……………………………………………348
(4) 난민정책 선진화 ………………………………………………352
(5) 외국인유학생 유치와 개선 ……………………………………355
(6) 외국인노동자제도 개선 ………………………………………358
3) 「국적법」 개정……………………………………………… 361
(1) 복수국적의 허용 ………………………………………………361
(2) 국적취득 요건 강화……………………………………………363
6. 정책 전환기 (2020~ 2025) ………………………………… 365
1) 이주민 유입 차단 (2020~2022년)………………………… 365
(1) 이주배경 아동·청소년 지원……………………………………366
(2) 국제결혼중개업자에 대한 다문화 수용성 교육 강화 …………369
(3) 다문화가족 포용대책 …………………………………………370
(4) 코로나19 대응 조치 …………………………………………371
(5) 국내 체류 우크라이나인 특별 체류 조치 ……………………372
2) 조사 사업…………………………………………………… 373
(1) 국민다문화수용성조사 ………………………………………373
(2) 2021년 다문화가족실태조사 …………………………………376
(3) 국제결혼중개업실태조사 ……………………………………377
3) 제4차 다문화가족지원정책 기본계획……………………… 379
(1) 다문화가족자녀 교육활동비 지원 사업 ………………………379
(2) 다문화 아동·청소년 지원 강화 ………………………………380
4) 제4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 ……………………………… 380
(1) Study Korea 300K Project…………………………………381
(2) 외국인 건보 무임승차 방지 대책 ……………………………382
(3) 신출입국·이민정책 추진방안 …………………………………383
(4) 스타트업 코리아 특별비자 도입………………………………383
(5) 불법체류 감축 5개년 계획 ……………………………………384
제3장 다문화사회 구성원
1. 다문화가족 ………………………………………………… 388
1) 결혼이민자 ………………………………………………… 392
(1) 결혼이민자 현황 ………………………………………………392
(2) 결혼이민자의 사증 ……………………………………………394
(3) 결혼이민자에 대한 지원………………………………………400
2) 다문화가족지원정책 ……………………………………… 402
(1) 「다문화가족지원법」 …………………………………………403
(2)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 ……………………………408
(3) 다문화가족지원센터 …………………………………………410
(4) 폭력피해이주여성 보호시설 …………………………………412
3) 이주배경 자녀……………………………………………… 413
(1) 다문화가족자녀 ………………………………………………413
(2) 중도입국자녀 …………………………………………………415
(3) 다문화 학생 현황………………………………………………417
2. 북한이탈주민 ……………………………………………… 421
1) 북한이탈주민 현황 ………………………………………… 421
(1) 용어의 변천……………………………………………………421
(2) 정착 현황 ……………………………………………………422
(3) 북한이탈주민과 다문화 ………………………………………427
2) 북한이탈주민지원정책 …………………………………… 428
(1) 주요 법률의 변천………………………………………………428
(2) 법률의 개정……………………………………………………429
(3)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기본계획 ……………………………432
(4)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434
(5) 북한배경학생 현황 ……………………………………………437
3. 외국국적동포 ……………………………………………… 440
1) 동포………………………………………………………… 440
(1) 재외동포 ………………………………………………………441
(2) 재외동포 관련 주요 기관 ……………………………………441
2) 재외동포 정책……………………………………………… 443
(1) 주요 재외동포 관련 법률 ……………………………………443
(2) 재외동포정책의 변화 …………………………………………445
3) 외국국적동포의 국내 체류 ………………………………… 446
(1) 외국국적동포 체류자격 ………………………………………448
(2) 체류자격별 현황 ………………………………………………451
4. 외국인유학생 ……………………………………………… 453
1)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 453
(1) 외국인유학생의 개념 …………………………………………454
(2) 외국인유학생 유치 역사………………………………………456
(3) 외국인유학생과 다문화 ………………………………………457
(4) 외국인유학생 현황 ……………………………………………458
2) 외국인유학생정책 ………………………………………… 460
(1) 외국인유학생 비자 제도………………………………………460
(2) 시간제 취업……………………………………………………464
(3) 장학금제도 ……………………………………………………466
(4) 졸업 후 진로 변경 ……………………………………………467
(5) 외국인유학생 유치 정책 전면 개편 추진 ……………………468
5. 외국인노동자 ……………………………………………… 470
1) 외국인 노동자의 취업……………………………………… 471
(1) 외국인노동자의 개념 …………………………………………471
(2) 주요 취업 가능 체류자격 ……………………………………472
(3) 취업자격 체류외국인 현황 ……………………………………475
(4) 외국인노동자와 다문화 ………………………………………477
2) 외국인노동자 정책 ………………………………………… 478
(2) 외국인노동자 지원 ……………………………………………479
(3) 정책 방향………………………………………………………480
6. 난민………………………………………………………… 481
1) 난민의 개념………………………………………………… 482
(1) 국제협약에서 난민 ……………………………………………482
(2) 한국 「난민법」에서 난민………………………………………483
(3) 무국적자와 난민 ………………………………………………484
(4) 난민 현황………………………………………………………484
(5) 난민과 다문화…………………………………………………487
2) 난민정책 …………………………………………………… 489
(1) 출입국외국인지원센터 ………………………………………491
(2) 재정착 난민 도입………………………………………………492
(3) 난민신청 절차…………………………………………………493
(4) 난민심사 절차…………………………………………………495
(5) 권리와 처우……………………………………………………496
(6) 제주 예멘 난민 사건 …………………………………………498
참고문헌 ……………………………………………………… 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