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ㆍ5
머리말ㆍ7
제1장 미학적인 삶의 의미와 가치 17
1. 미학적인 삶은 가장 자기다운 삶ㆍ17
2. 미학적인 삶의 가치ㆍ19
3. 불교적 관점의 실천적 삶의 미학ㆍ20
제2장 만해의 삶과 사상 33
1. 만해의 출가 이전의 삶ㆍ33
2. 만해의 출가 이후의 사상ㆍ35
3. 만해의 독립사상의 특징ㆍ48
제3장 독립의지의 표상으로서의 ‘이미지’ 61
1. 어디로 가야 하나ㆍ61
2. 독립의지의 표상 - ‘꽃’과 ‘나무’로ㆍ65
3. 진정한 자유와 평등의 표상ㆍ81
제4장 만해의 ‘심우장 시대’와 문학의 특징 85
1. 삶의 회향처 ‘심우장’ㆍ85
2. 만해의 ‘심우장 시대’ㆍ88
3. ‘심우장 시대’ 상황과 만해 문학ㆍ95
4. ‘님’은 침묵했으나 결코 침묵하지 않은 만해의 설중매 정신ㆍ124
제5장 침묵의 미학: 『님의 침묵』과 독립 129
1. 왜 만해는 시작(詩作)에 몰두했던가?ㆍ129
2. 님을 위한 사랑의 변주곡ㆍ130
3. 역설적 저항ㆍ133
제6장 희망의 상징: 자아 찾기와 깨달음 그리고 희망 143
1. 자아 찾기와 깨달음ㆍ143
2. 미래 지향적 희망의 메시지ㆍ146
3. 자연 관조를 통한 조화와 합일의 메시지ㆍ155
제7장 자비의 실천: 화엄적 사유와 생명사랑 161
1. 만해와 화엄적 사유ㆍ161
2. 생명에 대한 외경과 자비심의 실천ㆍ170
3. 연기적 존재 인식과 합일의 조화ㆍ177
제8장 초월의 미학: 만해의 시와 초현실주의 회통 187
1. ‘평상심시도’의 선적 사유ㆍ187
2. 초현실주의와 선의 회통ㆍ191
3. 초현실주의 시와 선시의 양상ㆍ195
4. 깨닫고 보니 ‘산은 산, 물은 물’ㆍ207
5. 초현실주의 시와 만해 선시의 회통ㆍ222
제9장 실천의 자비행: 「심우송」에 나타난 깨달음과 보살도 225
1. 「심우도」의 연원ㆍ225
2. 구도와 깨달음의 미학 「십우도」ㆍ230
3. 회향의 미학 「십우도」ㆍ245
4. 동체대비의 자비실천ㆍ259
제10장 근대 아시아 불교중흥 기수: 만해와 다르마팔라의 미학적 삶 261
1. 불교중흥과 자비실천의 서원ㆍ261
2. 만해와 다르마팔라의 삶과 사상ㆍ265
3. 만해와 다르마팔라의 불교중흥운동 실천 미학ㆍ272
4. 불교중흥운동의 역사적인 의미ㆍ285
5. 자유와 생명존엄의 인류사랑 지향ㆍ287
참고문헌ㆍ291
찾아보기ㆍ299
추모의 글ㆍ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