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국제관계란 무엇인가?
제1절 국제관계라는 관심 영역으로 들어가기: 왜 우리는 국제관계연구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제2절 국제관계와 국가
제3절 국가 체제 변화의 역사
제4절 국제관계와 국가이익
제5절 국제관계와 무정부 상태
제6절 국제 체제와 국제사회
제7절 국제관계와 주권
제8절 국제관계와 힘
제2장 국제관계의 역사와 이론
제1절 국제관계의 역사적 진화
제2절 국제관계 이론: 의미와 필요성
제3절 현실주의: 힘을 통한 평화
제4절 자유주의: 협력과 평화의 가능성
제5절 마르크스주의: 불평등의 세계
제6절 구성주의: 규범과 정체성
제7절 국제사회론
제3장 외교와 외교정책
제1절 국제관계와 외교
제2절 외교정책이란 무엇인가?
제3절 외교정책 결정요인과 분석 수준
제4절 외교정책 이론
제4장 국제관계와 안보
제1절 국제관계와 전쟁
제2절 국제관계와 평화
제3절 국가안보와 신흥안보
제5장 국제기구와 국제정치경제
제1절 국제관계와 국제기구
제2절 국제관계와 글로벌 거버넌스
제3절 국제관계와 유엔
제4절 국제정치경제란 무엇인가?
제5절 국제무역질서
제6절 국제통화질서
제6장 동아시아와 국제관계
제1절 20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붕괴와 형성
제2절 동아시아 지역의 부상과 특수성
제3절 미국과 동아시아: 일본 개항부터 한국전쟁
제4절 냉전기 미국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제5절 탈냉전 1기 미국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제6절 탈냉전 2기 미국과 동아시아 국제관계
제7절 일본의 보통국가화와 방위정책의 변화
제8절 중국의 부상과 초강대국 전략
제9절 미·중 관계의 역사적 발전과 전략 경쟁
제7장 한반도와 국제관계
제1절 남북한 관계의 형성과 역사적 변화
제2절 한·미동맹의 형성과 역사적 변화
제3절 한·일 관계의 역사적 발전과 갈등의 극복을 통한 협력
제4절 한·중 관계의 역사적 전개: 대결에서 협력으로
제5절 북한 핵 개발의 역사와 특징
제6절 새로운 남북 관계의 모색: 안보와 평화의 균형 프로세스를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