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행사
대산 이동환 선생님 약력 및 논저 목록
「쌍녀분기(雙女墳記)」의 작자와 그 창작 배경
고려전기 정신사에서의 낭만주의적 및 탐미주의적 성향에 대하여―주로 문학·예술을 통한 연구를 위한 하나의 점검―
『동문선(東文選)』의 선문(選文) 방향과 그 의미
회재(晦齋)의 도학적 시세계
퇴계(退溪)의 시작(詩作) 개황과 그의 작품 세계―도학시에서 ‘청정(淸淨)’의 세 가지 의상(意象)을 중심으로―
16세기 사림에서의 출처관의 문제―조식(曺植)과 이언적(李彦迪)의 관계를 중심으로―
퇴계(退溪)와 남명(南冥) 사이의 사상적 대결과 그 의의
남명(南冥)·퇴계(退溪) 양 학파의 사상 특성에 관한 몇 가지 문제제기
16세기 조선 사상계의 동향과 노수신(盧守愼)
선비 정신의 개념과 전개
부록 강연고 “민족의 언어 조건과 한문학의 연구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