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 책을 사용하는 방법 4
"메이플라워 협약"이 무엇일까? 9
- 행정의 역사
옛날에는 어떻게 국가를 운영했을까? 20
- 야경국가론에서 복지국가론까지
정치인인 국회의원이 행정부에서 장관을 해도 될까? 34
- 정치행정이원론과 정치행정일원론
행정학과 경영학 커리큘럼이 서로 비슷해 보이는 이유는? 40
- 공사행정일원론과 공사행정이원론
정부가 직접 일자리를 만들어야 할까 기업에 맡겨야 할까? 44
- 큰 정부와 작은 정부
전기요금이 비싼 것은 싫은데, 전력 공기업 적자가 늘어나는 것도 싫다. 50
- 시장실패와 정부실패
우리 동네에 소방차가 몇 대 있으면 적당할까? 58
- 공공 서비스의 과소 공급과 과다 공급
정부가 대형마트에 의무휴업을 명령해야 할까? 64
- 공공가치와 효율성
예비타당성 조사는 왜 하는 것일까? 68
- 신공공관리론
기업하기 좋은 나라 vs. 기업하기 나쁜 나라 72
- 경제적 규제와 사회적 규제
벌금이 효과적일까 보조금이 효과적일까? 78
- 명령지시적 규제와 시장유인적 규제
짜장면만 시켜! vs. 짜장면만 빼고 시켜! 82
- 네거티브 규제와 포지티브 규제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은 왜 효과가 없어 보일까? 84
- 윌슨(J. Q. Wilson)의 규제정치이론
과학기술의 발전 속도를 정책이 따라가지 못하면 생기는 일은? 92
- 규제와 과학기술정책
기업이 스스로 규칙을 만들 수 있을까? 96
- 자율규제
무인 자동차 주행시험은 어디서 해야 할까? 102
- 규제 샌드박스
과학기술정책은 문과의 영역일까? 이과의 영역일까? 106
- 과학기술과 행정학
국공립 노인 요양보호시설 vs. 민간 노인 요양보호시설 112
- 주인대리인 이론과 거래비용 이론
과학기술정책과 비난받을 용기 118
- 비난회피 성향과 혁신
공무원을 많이 뽑으면 사각지대가 사라질까? 122
- 사회적 배제와 사회적 자본
행정학과와 정책학과에서는 서로 다른 것을 배울까? 126
- 행정학과 정책학
핵무기를 만들기로 했던 미국 정부의 결정은 잘한 것일까? 130
- 정책학과 정책
일회용 컵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은 효과적일까? 136
- 정책목표와 인과관계
의대정원을 늘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40
- 정책수단
민원을 많이 넣으면 문제가 빨리 풀릴까? 144
- 의제설정이론
9급 공무원이 정책을 만들 수 있을까? 152
- 상향식과 하향식
왜 정부의 정책은 비판부터 받는 것일까? 154
- 정책결정
왜 나만 정책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걸까? 160
- 위험의 불평등과 가치 판단
잘못된 정책, 어디서부터 어떻게 잘못된 것일까? 164
- 정책오류
정책은 이권과 특혜를 만들어내는 것일까? 170
- 정책유형과 정치
공무원을 열심히 일하게 만들려면? 176
- 내용이론과 과정이론, 공직동기이론
공무원이 되려면 반드시 시험을 봐야 할까? 184
- 엽관주의, 실적주의·직업공무원제도, 대표관료주의
도대체 이 많은 제도를 누가 어떻게 만든 것일까? 192
- 제도주의
정부는 왜 비효율적인 것처럼 보일까? 202
- 동형화
행정학 공부를 시작한 이들에게 206
찾아보기 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