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Part Ⅰ 마음은 무엇인가? 마음에 관한 철학적 신학적 통찰
1. 들어가는 말: 오디세이와 떠나는 마음 여행
2. 마음에 관한 개념적 접근
1) 우리 말에서의 마음
2) 동아시아 전통에서 본 마음
3) 마음과 유사한 개념들: 영혼, 이성, 정신
3. 마음과 몸에 관한 철학적 논쟁
1) 마음의 애매성
2) 심신 이원론: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3) 데카르트의 마음과 육체의 이원론
4) 데카르트 이후 심신 관계의 양상
4. 현대 뇌 과학과 마음철학
1) 환원주의와 마음
2) 뇌 과학과 명상
5. 결론 : 마음 치료학으로의 철학
Part Ⅱ 나는 누구인가? : 인간에 관한 철학적 신학적 접근
1. 문제 제기: 나는 누구인가의 실마리
2. 인간은 무엇인가?
1)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논쟁
가. 철학적 입장
나. 성경이 말하는 인간의 존엄성(인권)
2) 성 정체성에 관한 논쟁
가. 남성과 여성 그리고 제3의 성
나. 성의 본질과 동성애
3) 몸과 살 그리고 영혼에 관한 담론
3. 생태주의와 인간 중심주의
4. 결론
Part Ⅲ 몸 철학에서 몸 신학으로
1. 문제 제기: 이성에서 몸으로
2. 포스트모더니즘과 몸
1) 소비문화 속의 몸
2) 성 정체성과 젠더 정치
3) 인식 주체로서의 몸
3. 몸 철학과 몸 신학의 대화
1. 포스트모던의 성과 몸 신학
2. 몸의 존재론적 구조: 육신, 영혼, 정신(영)
3. 성전으로서의 몸
4. 결론 : 온전한 몸의 속량을 소망하며
Part Ⅳ 죽음과 생명의 철학적 신학: 에노스와 현존재의 만남
1. 죽음이란 무엇인가?
2. 문학과 철학을 넘어서 철학적 신학으로
3. 인간은 어떤 존재인가?
1) 인간은 무엇인가?
2) 인간 정신의 기원과 죽음
3) 영혼은 불멸하는가? 아닌가?
3. 인간의 실존론적 구조와 죽음
1) 에노스와 죽음
2) 현존재와 죽음
4. 결론 : 좋은 죽음을 꿈꾸며- 죽음에서 생명으로-
Part Ⅴ 복음과 마음치유
1. 마음 알기
1) 마음이 무엇인가?
2) 마음의 위치
2. 성경과 마음치유
1) 부패한 마음(카르디아:heart와 누스:mind)
2) 말씀의 인도하심과 마음관리
3. 마음을 만지는 복음
1) 율법과 복음의 차이
2) 예수님의 마음치유
4. 묵상과 마음치유
1) 복음 관상기도
2) 마음 성찰기도
5. 결론: 묵상과 그리스도의 마음 담기
Part Ⅵ 그리스도교의 영성이란 무엇인가?: 영성의 철학적 신학적 의미
1. 지성에서 영성으로
2. 영성과 몸의 존재론적 인식
1) 육신에 속한 자
2) 육에 속한 자(혼에 속한 자)
3) 영에 속한 자
3. ‘칭의’에서 ‘성화’로
1) 영성 훈련과 성화
2) 머리의 묵상에서 마음의 묵상으로
4. 결론: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까지
Part Ⅶ 아브라함의 환대: 환대에 관한 신학적 철학적 담론
1. 환대의 개념
2. 아브라함의 정체성과 환대
3. 창세기 18장 1~8절
1) 본문의 배경
2) 환대의 자세: 환대는 예배다
3) 환대의 위험성:주인과 손님의 전복)
4. 그리스도인의 덕목으로서의 환대
5. 미리엘 신부
Part Ⅷ 오방 최흥종의 환대의 영성과 광주정신
1. 문제 제기: 환대란 무엇인가?
1) 주체에서 타자로: 타자화된 최흥종
2) 환대란 무엇인가?
2. 타자의 시선에 응답하는 환대
1) 최흥종과 포사이드 선교사와의 만남
2) 거세와 〈사망통지서〉
3. 광주 정신과 오방의 환대
1) 광주 정신이란 무엇인가?
2) 10일간의 광주와 환대의 공동체
3) 광주의 아버지로서의 오방
4. 결 론: 이념의 갈등을 치유하는 환대의 도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