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지속의 문턱에서
프롤로그: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생각의 전환, 연대의 시작
1장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미니멀리스트
1.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2. Must Have Item: 있으면 편리한, 없으면 불편한, 없으면 안 되는, 행복해지기 위해 많이 가지기
3. 소비하면서 얻은 것들: 행복과 불안 사이
4. ‘비움’과 ‘내려놓음’을 실천하는 미니멀리스트: 미니멀라이프가 우리에게 주는 것
5. 작은 삶을 살기 위한 가이드
6. 디지털 시대의 소비: 편리함과 지속가능성 사이
2장 풍요와 절제의 균형: 소비자와 생산자의 책임 있는 연대
1. 서론
2. 본론
1) 지속가능발전목표 12 & 13
2) 기업의 ESG 경영과 사회적 책임
3)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 실천
3. 결론
3장 성장과 지속가능성의 균형: 세계유산 가치 수호를 위한 방어
1. 세계유산과 SDGs
2. 세계유산의 가치와 위협요인
3. 사례
1) 세계유산의 보존과 인간의 권리 간 충돌과 조화
2) 기후변화로 인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
3) 인류 보편적 가치 수호를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형성
4. 결론
4장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정책의 역할
1. 서론
2. 문화발전과 지속가능발전의 관계
1) 유네스코의 문화발전 논의
2) 문화의 가치와 지속가능발전
3. 사례
1) 기후변화 위기와 문화정책
2) 문화다양성 정책
3) 문화예술교육정책
4) 문화도시와 문화정책
5) 문화영향평가제도
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문화정책 생태계 구축
5장 예술을 통한 도시 비평: 뱅크시의 작품세계와 지속가능한 도시의 미래
1. 들어가며
1) 전염병이 지나간 도시
2) 도시의 경계
3) 뱅크시
2. 도시와 뱅크시
1) 도시가 직면한 지속가능성 문제
2) 뱅크시의 예술세계
3. 벽에 담은 도시의 민낯: 기후변화와 환경
4. 벽에 담은 도시의 민낯: 불평등과 소외계층
5. 벽에 담은 도시의 민낯: 경제와 소비문화
6. 우리가 꿈꾸는 도시
6장 서로 다름이 풍요가 되는 상호문화실천을 통한 평화구축
1. 서론
1) 평화구축(Peace Building)
2) 차이에 대한 긍정적 접근의 상호문화주의
3) 포용적 사회를 위한 사회정서학습과 상호문화교육
2. 본론
1) 개인적 차원의 평화구축과 상호문화실천 사례
2) 관계적 차원의 평화구축과 상호문화실천 사례
3) 구조적 차원의 평화구축과 실천 사례
3. 결론
7장 지속가능한 도시와 공동체를 위한 파트너십, 공론장
1. 우리의 도시는 지속가능할까?
2. 파트너십과 공론장
1) 파트너십: 단 한 사람도 소외되지 않는 것
2) 숙의공론장
3.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공론장 사례들
1) 사회의 주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공론화위원회
2) 기후위기를 시민의 힘으로 극복하려는 기후시민회의
3)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수립하는 주요이해관계자그룹 공론장
4. 지속가능한 세상으로 나아가기
8장 SDGs 실현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 콜렉티브 임팩트
1. 들어가며
2. 왜 콜렉티브 임팩트인가?
1) 정부실패, 시장실패, 비영리실패
2) 섹터 간 협력
3) 섹터 간 협력과 콜렉티브 임팩트의 비교
3. 콜렉티브 임팩트의 성공요건
1) 공통의 의제(Common Agenda)
2) 공유된 측정체계(Shared Measurement Systems)
3) 상호 보완적 활동(Mutually Reinforcing Activities)
4) 지속적인 의사소통(Continuous Communication)
5) 중추 지원조직(Backbone Support Organization)
4. 콜렉티브 임팩트의 추진 절차
1) 시작 단계(Initiate Action)
2) 조직화 단계(Organize for Impact)
3) 지속적인 실행 및 영향(Sustain Action and Impact)
4)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
5. 대표 사례
1) 사례 1: 오션클린업프로젝트(The Ocean Cleanup Project)
2) 사례 2: 스트라이브투게더(Strive Together)
6.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