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동원/ 총론 : 인문도시지원사업, 〈역사와 함께 호흡하는 생태 인문도시 시흥〉의 연구성과를 결산하며
한지선/ 원삼국~백제 한성기 시흥 지역 집단의 존재 양상과 변화
1. 들어가며
2. 시흥 지역 원삼국~백제 한성기 유적의 현황과 특징
3. 시흥 지역 집단의 존재 양상과 백제와의 관계
4. 나가며
김원혁/ 조선초기 시흥 사족 가문의 존재 양상
1. 들어가며
2. 조선초기 사족과 시흥 지역의 동향
3. 시흥의 사족 가문 정착과 존재 양상
4. 나가며
장래건/ 강희맹의 「금양잡록」 저술과 ‘사’(士)로서의 정체성
1. 들어가며
2. 당대인이 본 「금양잡록」의 위상
3. 금양별업 경영을 위한 농서
4. 가내 농서에 드러난 ‘사’(士)의 정체성
5. 나가며
강나은/ 15~16세기 사족의 혼인 네트워크의 영향력과 지속 여부:시흥 기반 사족 강석덕(姜碩德)-강희맹(姜希孟) 가계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분석대상과 강희맹 일가의 혼인 네트워크
3. 강석덕-강희맹 가계의 혼입자(婚入者) 분포와 혼인 네트워크 형성
4. 나가며
이동원/ 시흥 도시빈민 정착공동체 운동과 시민운동의 재발견
1. 들어가며
2. 도시빈민 정착공동체 운동의 출발점, 복음자리 마을
3. 한독마을, 목화마을의 탄생과 공동체 성격의 변화
4. 나가며
홍수현/ 1970~80년대 ‘사회의학’의 실천과 신천연합의원의 설립
1. 들어가며
2. 한국 보건의료 모순의 심화와 사회의학 개념의 재인식
3. 1970년대 사회의학연구회 창립과 의대 학생운동의 전개
4. 1980년대 신천연합의원 설립과 사회의학의 실천
5. 나가며
허현주/ 1990~2000년대 시흥 여성의전화의 조직과 활동
1. 들어가며
2. 1980~1990년대 여성폭력 추방 운동과 여성의전화
3. 지역 여성운동의 부상과 시흥 여성의전화 창립
4. 제도화 이후 지역 여성운동의 위기와 대응
5. 나가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