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사 i
제1부
문화교류 통로로서 실크로드
동서를 잇는 실크로드란?
제1절 실크로드의 문화적 해석 3
제2절 실크로드 3대 간선과 5대 지선의 검토 6
제3절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교류 사례 13
제2부
한국ㆍ일본ㆍ중국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
제1장 한국, 일본, 중국의 전통무예
제1절 한국의 전통무예 21
1. 들어가며 21
2. 삼국(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전통무예 23
3. 고려의 전통무예 26
4. 조선의 전통무예 29
5. 개화기 및 일제강점기의 전통무예 33
6. 근현대의 전통무예 37
제2절 일본의 전통무예 39
1. 들어가며 39
2. 고대의 전통무예 40
3. 중세의 전통무예 42
4. 근세의 전통무예 44
5. 근현대의 전통무예 46
제3절 중국의 전통무예 52
1. 들어가며 52
2. 고대(선진ㆍ진한삼국ㆍ양진남북조ㆍ수당오대)시기의 전통무예 52
3. 중세(송ㆍ요ㆍ금ㆍ원)시기의 전통무예 59
4. 근세(명ㆍ청) 시기의 전통무예 61
5. 근현대시기의 전통무예 63
제2장 한국, 일본, 중국의 전통무용
제1절 한국의 전통무용 67
1. 고대의 전통무용 67
2. 삼국(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전통무용 71
3. 고려의 전통무용 78
4. 조선의 전통무용 82
5. 근대의 전통무용 86
6. 현대의 전통무용 96
제2절 일본의 전통무용 100
1. 고대의 전통무용 100
2. 중세의 전통무용 105
3. 근세의 전통무용 111
4. 근현대의 전통무용 117
제3절 중국의 전통무용 121
1. 고대의 전통무용 121
2. 중세(송ㆍ원)의 전통무용 137
3. 근세(명·청)의 전통무용 140
4. 근현대의 전통무용 144
제3장 한국, 일본, 중국의 전통유희
제1절 한국의 전통유희 148
1. 고대의 전통유희 149
2. 삼국(고구려ㆍ백제ㆍ신라)의 전통유희 152
3. 고려의 전통유희 168
4. 조선의 전통유희 177
5. 근현대의 전통유희 186
제2절 일본의 전통유희 201
1. 고대시대의 전통유희 201
2. 중세의 전통유희 215
3. 근세의 전통유희 220
4. 근현대의 전통유희 227
제3절 중국의 전통유희 238
1. 고대의 전통유희 238
2. 중세(오대십국ㆍ요ㆍ송ㆍ금ㆍ원)의 전통유희 256
3. 근세(명ㆍ청)의 전통유희 262
4. 근현대의 전통유희 269
제3부
몽골ㆍ카자흐스탄ㆍ우즈베키스탄ㆍ이란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
제1장 몽골의 역사와 전통무예, 무용, 유희
제1절 몽골 역사의 개괄 277
1. 들어가며 277
2. 고대 몽골 사회(B.C. 3-12세기) 282
3. 몽골제국의 시기(13-14세기) 285
4. 몽골제국 이후의 시기(15-17세기) 287
5. 18-20세기의 몽골인 축제 288
제2절 나담축제 속의 전통무예 289
1. 들어가며 289
2. 나담축제의 의미 290
3. 부흐 293
4. 활쏘기 298
5. 말타기 301
제3절 몽골의 전통무용 304
1. 들어가며 304
2. 비엘게 306
3. 샴 310
4. 현대 몽골의 전통춤 정책 313
제4절 몽골의 전통유희 314
1. 들어가며 314
2. 판놀이 315
3. 샤가이 놀이 318
제2장 우즈베키스탄ㆍ카자흐스탄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
제1절 중앙유라시아에 관한 문명사적 이해 323
1. 지역 범주와 문명사적 정의 323
2. 중앙유라시아의 역사 326
3. 중앙유라시아 전통문화의 다원성 344
제2절 우즈베키스탄ㆍ카자흐스탄의 전통무예, 무용, 유희 347
1. 정주문명 전통권(우즈베키스탄)의 전통 신체문화 347
2. 유목문명 전통권(카자흐스탄)의 전통 신체문화 359
제3장 이란의 전통무예, 무용, 그리고 유희
제1절 이란의 역사적 배경 371
1. 고대사회의 시대적 배경 371
2. 중세·근세사회의 시대적 배경 374
3. 근·현대사회의 시대적 배경 375
제2절 전통무예, 무용, 유희 375
1. 전통무예의 역사와 전개 양상 375
2. 전통무용의 역사와 전개 양상 378
3. 전통유희의 역사와 전개 양상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