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이동원/ 총론 : 인문도시지원사업, 〈역사와 함께 호흡하는 생태 인문도시 시흥〉의 연구성과를 결산하며
정요근/ 역사 지리적 관점에서 본 시흥시의 과거와 현재
1. 들어가며:시흥시의 독특한 역사 문화적 배경
2. 시흥 지명의 유래와 시흥시의 탄생
3. 보통천과 호조벌, 그리고 시흥시 영역의 권역 구분
4. 권역별 인구 변동의 역사적 추이
5. 나가며:역사 문화 자산 확충의 필요성
정승화/ 조선 후기 경기 지역의 재정운영과 시흥
1. 들어가며
2. 경기 지역의 재원 분포양상 및 특징
3. 경기 지역의 재정 규모와 비중
4. 시흥 지역의 재원 분포와 재정 규모
5. 나가며
김한빛/ 1910년대 초반 시흥 지역 간척지 소유 양상
1. 들어가며
2. 지역 개관 및 연구 방법
3. 과세가격과 비옥도
4. 토지소유 현황
5. 최상위 지주들
6. 나가며
김혜원/ 19세기 말 시흥 지역 개신교 전래 과정 연구
1. 들어가며
2. 시흥 지역 개신교 전래 서사 검토
3. 19세기 말 시흥 지역 개신교 전래 과정의 재구성
4. 나가며
이원식/ 1914년 경기도 군ㆍ면 통폐합 논의와 계획 수립:시흥군 및 소재 면의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경기도의 부ㆍ군 통폐합 계획 과정
3. 시흥 지역의 면 통폐합 계획 과정
4. 나가며
박정민/ 1920~30년대 후반 소래 지역의 성쇠와 지역사회의 대응
1. 들어가며
2. 1920~1930년대 중반 소래면의 사회경제적 기반과 지역사회
3. 1930년대 후반 하향식 지역개발에 대한 소래 지역사회의 대응:‘소사’, ‘부평’과의 경쟁을 중심으로
4. 나가며
박지현/ 광복을 맞이한 군자ㆍ소래염전과 소금 이야기
1. 한국인들에게 소금이란?
2. 일제 식민의 유산:전매국과 천일염전
3. 광복 후 임무:김장 소금을 사수하라
4. “빛과 소금 같은” 군자ㆍ소래염전
5. 군자ㆍ소래염전이 남긴 유산
윤성민/ 유엔한국재건단(UNKRA)의 광업 원조:‘시흥흑연광산’ 원조사업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유엔한국재건단(UNKRA)의 한국경제 재건 계획과 광업 계획
3. 유엔한국재건단(UNKRA)의 시흥흑연광산 사업계획의 실행과 부침
4. 나가며
고태우/ 어디까지 개발해야 할까?:시화호 30년, 오염과 개선의 이중주
1. 들어가며
2. 시화지역 생태환경 변화와 ‘죽음의 호수’ 시화호의 형성
3. 2000년대 이후, 생명이 돌아오지만 계속 개발되는 시화호
4. 나가며:시화호가 개발을 거부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