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ARTⅠ 기반 다지기
Chapter 01 | 부모교육과 지원의 정의
1. 부모교육과 지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2. 부모교육과 지원 정의
Chapter 02 | 부모교육과 지원의 중요성 및 필요성과 현황
1. 부모교육과 지원의 중요성
2. 현대사회에서의 부모교육과 지원의 필요성
3. 우리나라에서 2000년대 이후 부모와 가족에게 제공되는 지원
Chapter 03 | 부모교육과 지원의 전제 조건
1. 바람직한 부모-유아교육기관 관계 형성을 위한 환경
2. 유아교육기관과 부모의 전문성
PART Ⅱ 부모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의 계획, 실행 및 평가
-준비하기-
Chapter 04 | 프로그램 계획의 기본 원칙
Chapter 05 | 현황 점검 및 부모의 욕구 조사
1. 가정-기관 관계의 현황 점검
2. 부모의 욕구 조사
Chapter 06 | 부모교육과 지원의 담당자
1. 외부 인사 vs. 내부 인사
2. 자녀를 아는 사람 vs. 모르는 사람
3. 한 사람 vs. 여러 사람
4. 전문가 리더 vs. 비전문가 리더
Chapter 07 | 부모회와 운영위원회의 구성과 운영
1. 부모회
2.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운영위원회
Chapter 08 | 교직원의 준비와 훈련
1. 교직원이 가져야 할 기본적인 신념, 소양과 능력
2. 교직원의 자기 계발과 훈련
-실행 및 평가하기-
Chapter 09 | 부모 참여 방안
1. 간접 경험(관찰)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
2. 직접 경험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
3. 학습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
4. 의사소통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
5. 자원과 재능 제공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
6. 의사결정 과정에의 참여를 통한 협력
Chapter 10 | 부모교육과 지원의 내용
1. 부모교육과 지원의 내용
2. 부모교육과 지원의 내용 구성 시 유의점
Chapter 11 | 부모교육과 지원의 방법 및 전략
1. 성인 학습자로서의 부모의 특성
2. 부모교육 및 지원에서의 교수-학습 전략
3. 부모교육 및 지원에서의 교수-학습 매체
4. 교수-학습 전략과 교수-학습 매체 선정 및 사용에서의 유의점
Chapter 12 | 프로그램 안내와 참여의 촉진
1. 부모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부모의 참여율을 높이는 전략
3. 부모의 지각률을 낮추는 전략
4. 부모들 간의 긍정적 분위기를 형성하게 하는 전략
5. 부모의 결석률을 낮추는 전략
Chapter 13 | 통신문의 활용
1. 통신문의 역할
2. 통신문의 종류
3. 통신문 활용 시의 유의 사항
4. 모바일 알림장
Chapter 14 | 부모와의 면담
1. 집단 면담을 통한 의사소통
2. 개인 면담을 통한 의사소통
3. 불만 있는 부모와의 상담 원칙
Chapter 15 | 프로그램의 평가
1. 평가의 필요성
2. 평가의 종류와 내용
3. 평가 방법
4. 평가 시기
5. 평가 결과의 종합과 활용
6. 평가 시 유의점
PART Ⅲ 부모교육 및 지원 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Chapter 16 |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1.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하는 교육 활동 자료
2. 자녀 양육 역량 강화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3. 취약 계층 가정(저소득, 탈북 가정) 부모교육 프로그램
4. 유아 인성 교육을 위한 부모 훈련 프로그램 및 연수 자료집
5. 여성가족부 부모교육 매뉴얼
6. 부모교육 및 지원을 위한 기타 관련 자료
Chapter 17 | 국외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1. 부모 효율성 훈련(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PET)
2. 효율적인 부모 역할을 위한 체계적 훈련
(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ST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