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감사의 말씀 / 7
서론: 저항의 의미 / 9
제1부 저항과 휴머니즘 윤리
1장. 계몽주의와 불/연속적 대화 __ 25
2장. 지속적인 자기 향상 __ 35
3장. 타인에 대한 초월론적 의식 __ 51
제2부 저항과 종교적 정체성
4장. 에큐메니즘과 반유대주의 사이에서 __ 87
5장. 슈타인과 베유: 유대교와 그리스도교에 대한 서로 다른 대응 __ 97
6장. 슈타인과 베유: 자기 긍정과 자기 부정 사이에서 __ 127
7장. 프랑크와 힐레숨: 정체성과 하느님 찾기 __ 165
제3부 자전적 글쓰기의 저항 행동
8장. 예술과 자아가 만나는 지점 __ 201
9장. 슈타인과 베유: 추방된 자전적 자아 __ 207
10장. 프랑크와 힐레숨: 일기 쓰기를 통해 성장한 예술가 __ 217
제4부 저항과 여성성
11장. 공포 통치 속의 젠더 의식 __ 251
12장. 슈타인과 베유: 여성의 본성과 운명 __ 255
13장. 지적이며 정서적인 성숙을 향하여 __ 279
결론: 저항의 유산
참고문헌 / 309
옮긴이의 말 / 316
저자 소개 /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