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사
옮긴이 서문
감사의 말씀
서론
정치문화 접근법과 미국 민주주의 정신
막스 베버를 주목함: 미국 정치문화의 과거, 현재, 미래
미국 정치문화 핵심의 윤곽과 장기간의 역사적 전개
책의 개요
1장 미국 정치문화의 토대 I: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이 초기 미국 정치문화의 초석을 이룸
세계 지배 개인주의: 종교적 기원
공동체의 역동성: 종교적 기원
지상에서 신의 왕국을 창조함
윤리적 공동체-회중
2장 미국 정치문화의 토대 II: 영국 식민지 시기 미국, 초기 미국, 그 이후 시기 프로테스탄트 종파들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을 넘어서: “프로테스탄트 종파” 연구
종파와 교회
프로테스탄트 종파의 사회심리적 역동성: “자신을 꿋꿋이 지키는” 개인주의, 종파에 순응, 삶의 양식을 체계적-합리적 방식으로 조직함
퓨리턴 종파들: 민주적 거버넌스, 양심의 자유, 그리고 세속적 권위에 대한 저항
3장 그룹들을 형성하는 미국 정치문화의 “탁월한 힘”: 프로테스탄트 종파로부터 시민단체, 시민사회, 19세기 실용적-윤리적 행동에 이르기까지
“미국사회는 모래더미가 아니다”
회중의 가치가 커뮤니티로 확산되면서 시민사회가 형성됨
공적 이상과 시민윤리의 유지: “실용적-윤리적 행동”과 새로운 공생적 이원주의
4장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미국 정치문화: 강력한 개인주의와 작은 국가의 복합체
미국 산업화 시대의 국가관
미국의 특수성을 포착함: 독일 산업화 시기의 국가관과 실용적-윤리적 행동의 일탈
5장 베버리언 모델:
20세기 미국 시민사회의 해체
근대세계: 일종의 쇠우리?
베버리언 모델: 미국 시민사회의 해체
노동의 사유화와 실용적 합리주의의 확산
미국의 “유럽화”에 따른 시민사회의 위축
“물질적 상품의 권력”에 의한 시민사회의 위축
6장 보완적 모델: 베버리언 모델을 확장함
일반화 모델: 시민사회의 장기지속성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도덕적 가치가 수행한 역할: 일반화 모델 응용 사례
전문가 단체 모델: 프로테스탄트 종파 유산의 재편과 축소
갈등 모델: 경쟁적 시민사회
7장 결론: 막스 베버가 분석한 미국 민주주의 정신의 과거, 현재, 미래
베버의 주장을 다시 검토함
영국 식민지 시기 미국의 공생적 이원주의
19세기: 시민 지향적 개인주의와 새로운 공생적 이원주의
독특한 미국 사례의 교훈은?
베버의 분석양식: 정치문화 연구
부록 1 막스 베버의 미국 여행: 관찰과 영향
부록 2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간략한 요약
용어 해설
크레디트
해제1 막스 베버와 탈근대 사회과학의 재발견: 12·3 계엄령을 사례로
해제2 프로테스탄트 종파와 미국의 민주적 토론정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