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정답이 아닌 성찰의 힘을 기르는 교육을 향하여 3
제1부_ 도덕적 딜레마와 가치 위계 이론 7
제1장 도덕적 딜레마 이론 9
1.1. 왜 다시 도덕적 딜레마인가: 지식으로서의 윤리와 삶으로서의 도덕 9
1.2. 콜버그를 넘어서: 인지, 감성, 관계, 초월을 아우르는 통합적 접근 11
1.3. 딜레마 수업의 재발견: 정답 찾기가 아닌 가치관 성찰의 도구 16
제2장 가치 위계 6단계 모델의 이론과 구조 19
2.1. 딜레마와 가치 위계: 분석의 출발점 19
2.2. 모델의 구조: 6단계 가치 위계의 상세 해설 22
2.3. 모델의 재구조: 새로운 6단계 가치 위계의 상세 해설 25
2.4. 기존 이론과의 비교를 통한 모델의 독창성 28
제2부_ 도덕적 딜레마 수업의 실제와 활용 31
제1장 성공적인 딜레마 토론 수업 운영 가이드 33
1.1. 수업 전 준비: 안전한 토론의 장(場) 설계하기 33
1.2. 수업 도입: 딜레마 효과적으로 제시하기 37
1.3. 딜레마 제시와 토론 진행의 실제 40
제2장 도덕적 딜레마 수업의 평가 및 피드백 47
2.1.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 결과에서 과정으로 47
2.2. 과정 중심 평가의 실제: 포트폴리오와 성찰 저널 49
2.3. 성장을 돕는 피드백의 기술 51
[부록] 55
[부록 1] 새로운 가치 위계 6단계 요약표 57
[부록 2] 학생용 성찰 활동지 양식(딜레마 포트폴리오) 58
[부록 3] G. Lind의 KMDD 수업 모형(선행 사례) 60
[부록 4] KC-index 개념적 이해를 위한 안내(심화 과정) 65
[부록 5] 도덕적 딜레마 기반 수업 교수학습지도안(예시) 68
[부록 6] 도덕적 딜레마의 45개 주제 영역 71
[부록 7] 도덕적 딜레마를 위한 450개 질문 현황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