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여는 말
1. 일상은 소중하다
누구도 나에게 이 길을 가라 하지 않았다 ㆍ 착한 사람을 위한 법 ㆍ 무죄 판결 ㆍ 납골당을 다녀와서 ㆍ 판결 선고 후 ㆍ 협상의 법칙, 조정의 법칙 ㆍ 사법도 감동을 창조할 수 있다 ㆍ 스위스 법원 기행 ㆍ 형사 재판 잘 받는 방법들 중 ㆍ 판사의 일 ㆍ 화이트칼라 범죄 양형 기준 ㆍ 좋은 변호사 ㆍ 죄인을 다스리는 방법 ㆍ 말 대신 계약서 ㆍ 증인 출석 ㆍ 판사 한기택 ㆍ 민사 재판 잘 받는 법 ㆍ 상속 포기 ㆍ 40대 ㆍ 조정과 우산 ㆍ 녹차 한 잔의 힘 ㆍ 김창완 ㆍ 명분과 실리를 나누는 화해 ㆍ 조삼모사 ㆍ 선순환의 공동체 ㆍ 작은 세상이 대안이다 ㆍ 이삭의집에서 만난 소년 ㆍ 부끄러운 대학 생활 ㆍ 자작나무 ㆍ 하모니를 보고 ㆍ 나이 먹는 일의 기쁨과 슬픔 ㆍ 책을 읽는 이유 세 가지 ㆍ 블로그 방문객 10만 명을 기록하며 ㆍ 취미 세 가지 ㆍ 정겨운 세상 만들기 ㆍ 병원에서 절감한 비폭력 대화법 ㆍ 책을 고르는 기준 ㆍ 추도식에 다녀와서 ㆍ 홋카이도를 다녀와서 ㆍ 왕후박나무 ㆍ 망진산을 오르며 ㆍ 시외버스를 탈 때 주의할 사항 ㆍ 우포늪 반딧불 ㆍ 지리산의 일출 ㆍ 영축산의 평안 ㆍ 안치환 주간 ㆍ 코리아를 보고 ㆍ 목련 ㆍ 생강나무 ㆍ 느티나무 ㆍ 배롱나무 ㆍ 구상나무 ㆍ 그 소나무 ㆍ 주목 ㆍ 증거 재판주의 ㆍ 7번 방의 선물을 보고 ㆍ 편백나무 ㆍ 막말을 자제하는 법 ㆍ 조정에 임하는 자세 ㆍ 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ㆍ 공무원 생활을 시작할 때 유의할 점 ㆍ 모과나무 ㆍ 소원을 보고 ㆍ 은행나무 ㆍ 고로쇠나무 ㆍ 녹나무 ㆍ전나무 ㆍ 프라하의 48시간 ㆍ 박태기나무 ㆍ 칠엽수
2. 일독을 권한다
나무야 나무야를 다시 읽고 ㆍ 공부의 즐거움을 읽고 ㆍ 법의 정신을 다시 읽고 ㆍ 변신과 시골 의사를 읽고 ㆍ 팡세를 읽고 ㆍ 도덕경을 다시 읽고 ㆍ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고 ㆍ 감시와 처벌을 읽고 ㆍ 파리의 노트르담을 읽고 ㆍ 호밀밭의 파수꾼을 읽고 ㆍ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ㆍ 자유론을 읽고 ㆍ 25시를 읽고 ㆍ 에밀을 읽고 ㆍ 손자병법을 읽고 ㆍ 피로사회를 읽고 ㆍ 의무론을 읽고 ㆍ 마담 보바리를 읽고 ㆍ 난중일기를 읽고 ㆍ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읽고 ㆍ 안나 카레니나를 읽고 ㆍ 여자의 일생을 읽고 ㆍ 재판관의 고민을 읽고 ㆍ 베니스의 상인을 읽고 ㆍ 허클베리 핀의 모험을 읽고 ㆍ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를 읽고 ㆍ 주홍글자를 읽고 ㆍ 문학 속의 재판, 재판 속의 문학 ㆍ 페스트를 다시 읽고 ㆍ 부활을 다시 읽고 ㆍ 카라마조프 형제들을 다시 읽고 ㆍ 죄와 벌을 또다시 읽고 ㆍ레 미제라블을 다시 읽고 ㆍ 전쟁과 평화를 다시 읽고 ㆍ 적과 흑을 다시 읽고 ㆍ 열린 사회와 그 적들을 읽고
3. 사회에 바란다
형사 사건 재배당과 양형 기준제 ㆍ 공판 중심주의와 그 적들 ㆍ 변화의 시대에 판사로 사는 방법 ㆍ 독립되어 있지 아니하면 사법이 아닙니다 ㆍ 솔로몬왕의 판결 ㆍ 진주지원장 취임사 ㆍ 조정위원 위촉식 인사말 ㆍ 진주지원장 이임사 ㆍ 부산고등법원 이임사 ㆍ 부산가정법원장 취임사 ㆍ 부산여성변호사대회 기조 강연 ㆍ 헌법재판관 후보자 인사 말씀 ㆍ 헌법재판소 재판관 취임사 ㆍ 헌법재판소 재판관 퇴임사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