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제1장 역사 기로에 선 민주주의, 역사의 선택 - 김정인
인터뷰 참여자 권혁은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연구교수)
김종철 (전 《한겨레》 기자)
박태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이동기 (강원대학교 평화학과 교수)
이송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제2장 정치 내란의 발발, 그 구조와 맥락 - 손우정
인터뷰 참여자 김귀옥 (한성대학교 소양·핵심교양학부 교수)
김동춘 (좋은세상연구소 소장)
백승헌 (법무법인 경 변호사)
안병진 (경희대학교 미래문명원 교수)
이철희 (지식디자인연구소 소장)
제3장 경제 민주주의 종말의 경제적 가능성들 - 이원재
인터뷰 참여자 강정수 (블루닷 AI연구센터장)
신현호 (경제평론가)
양승훈 (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윤홍식 (인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임춘택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제4장 외교 내란 사태와 남북·국제관계, 그리고 군에 대한 민주적 통제
- 정욱식
인터뷰 참여자 권혁철 (《한겨레》 기자)
김성경 (북한대학원대학교 남북마음통합연구센터 부센터장)
여석주 (전 국방부 정책실장)
이제영 (리영희재단 사무국장)
하남석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교수)
제5장 윤석열 문제적 인물, 윤석열 - 손우정
인터뷰 참여자 김현수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오병두 (홍익대학교 법학부 교수)
이승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박사)
임선응 (《뉴스타파》 기자)
정은주 (《한겨레》 기자)
조희연 (공존의뜰 이사장)
제6장 극우 외로움의 시대, 극우를 키우다 - 추은혜
인터뷰 참여자 강성현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금준경 (《미디어오늘》 기자)
박성철 (하나세정치신학연구소 목사)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
제7장 시민운동 두 번째 위기, 두 번째 교훈 - 이미현
인터뷰 참여자 양이현경 (한국여성단체연합 공동대표)
엄미경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부위원장)
이승훈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
이한솔 (윤석열물어가는범청년행동 운영위원장)
제8장 지역 이곳에도 저항이 있었다 - 손우정
인터뷰 참여자 김영숙 (대구시마을공동체만들기지원센터 센터장)
박미경 (광주시민단체협의회 상임대표)
정완숙 ((사)디모스 대표)
차성환 (부산비상시국회의 상임공동대표)
홍진원 (강릉시민행동 대표)
제9장 헌정질서 민주공화국을 중심으로 본 헌정(憲政)의 과제 - 정연순
인터뷰 참여자 김종철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박용대 (법무법인 지향 변호사)
백승헌 (법무법인 경 변호사)
이주희 (법무법인 다산 변호사)
이준일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대담 12·3 계엄과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