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독자들에게
들어가며
1. 노벨 물리학상
ㆍ아노 펜지어스 ㆍ로버트 우드로 윌슨
〈1978년, 3K 우주배경복사 발견〉
ㆍ머리 겔만
〈1969년, 소립자의 분류와 그 상호작용에 관한 발견과 기여〉
ㆍ버턴 릭터 ㆍ새뮤얼 차오 충 팅
〈1976년, 무거운 소립자 발견〉
ㆍ양전닝
〈1957년, 패리티 비보존에 관한 연구〉
ㆍ에사키 레오나
〈1973년, 고체에서의 터널효과 연구〉
2. 노벨 화학상
ㆍ피터 미첼
〈1978년, 생체막에서의 에너지 변환 연구〉
ㆍ후쿠이 겐이치
〈1981년, 화학반응 과정에 대한 이론적 연구〉
ㆍ라이너스 폴링
〈1954년, 화학결합에 관한 연구로 노벨 화학상 수상 /
1962년, 핵실험 반대운동을 이끈 공로로 노벨 평화상 수상〉
ㆍ프레더릭 생어
〈1958년, 인슐린의 구조결정 / 1980년, 핵산의 염기배열 연구〉
ㆍ존 켄드루 ㆍ맥스 퍼디낸드 퍼루츠
〈1962년, Ⅹ선 회절법을 이용한 구상 단백질 입체구조의 해명〉
3. 노벨 생리학ㆍ의학상 1
ㆍ프랜시스 크릭
〈1962년, 핵산의 분자구조와 생체 내 정보 전달에 관한 그 중요한 발견〉
ㆍ프랑수아 자코브
〈1965년, 효소와 바이러스 합성의 유전적 제어 연구〉
ㆍ마셜 워런 니런버그
〈1968년, 유전암호 해독과 단백질 합성에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ㆍ아서 콘버그
〈1959년, DNA 합성〉
4. 노벨 생리학ㆍ의학상 2
ㆍ조슈아 레더버그
〈1958년, 미생물에 대한 유전생화학의 발전〉
ㆍ데이비드 볼티모어
〈1975년, 종양 바이러스 연구〉
ㆍ줄리어스 액설로드
〈1970년, 신경 말초부에서의 신경전달물질의 발견과 그 저장, 해리, 비활성화 기구에 대한 연구〉
ㆍ데이비드 허블 ㆍ토르스텐 비셀
〈1981년, 대뇌피질 시각영역에서의 정보 처리 연구〉
ㆍ앨런 코맥
〈1979년, 컴퓨터를 이용한 X선 단층 촬영 기술 개발〉
ㆍ나가며
ㆍ노벨상(자연과학 부문) 수상자 목록
ㆍ옮긴이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