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차례
감사의 말
나는 왜 자연 관찰 일지를 쓰는가?
1.관찰과 의도적인 호기심
더 깊은 관찰을 위한 지침 | 의도적인 호기심
‘왜’라는 질문: 대안 가설 만들기
자연주의자이자 과학자처럼 생각하는 방법
2. 의식을 집중할 주제 찾기
컬렉션 또는 도감 만들기 | 패턴을 찾고, 예외 발견하기
사건 기록하기 | 지도, 단면도, 블록 풍경 만들기
3. 탐구를 심화하는 방법들
글쓰기 | 다이어그램 만들기
새소리 및 다른 소리들의 다이어그램화
목록 작성하기 | 수량 세기와 측정하기
데이터 도구 | 호기심 도구 키트
4. 시각적 사고와 정보 표현
그리넬 필기법 | 생각을 구조화하기
자연의 청사진 | 페이지 구성 | 화살표에 대해 더 알아보기
5. 관찰 일지 키트와 재료
자연 관찰 키트 만들기 | 기본 그림 도구
알맞은 관찰 노트 선택하기 | 나만의 팔레트 만들기
6. 자연 그리기
꿈을 실천하기까지의 로드맵
퓨마의 두개골: 전체적인 드로잉 과정
그리기 전에 관찰하기: 구조와 형태
기본 형태 잡기: 예술가처럼 생각하는 법
선 작업: 팔꿈치, 손목, 손가락으로 호 그리기
명암: 명암 관찰하고 단순화하기 | 채색: 색 혼합하기
세밀한 묘사와 질감 | 입체감을 표현하는 방법 | 구도
빠르게 그리는 방법과 요령
7. 도구별 기법
연필로 명암 강조하기 | 비율과 논포토 블루 연필
펜으로 스케치하기 | 톤드 페이퍼에 그리기 | 색연필 활용법
수채 물감 활용법 | 어두운 배경 위에 밝게 세부를 묘사하기
과슈 사용하기 | 암석 물감
8. 동물 그리는 법
곤충 그리기: 곤충 해부학 | 도롱뇽 그리기
새 그리기: 푸른멧새 그리기 | 복잡한 무늬와 45도 측면 시점
새의 비행 | 청둥오리 형태 조립하기
포유류 그리기: 보이는 것보다 더 깊이 이해하기
털 그리기와 채색하기 | 털 아래의 근육 표현
동물이 움직이면 어떻게 해야 할까? | 흔적 추적하기
9. 야생화 그리는 법
꽃의 대칭 구조 이해하기 | 단축과 꽃의 형태
말려 있는 꽃잎 그리기 | 붓꽃 앞에서 뒤로 그리기
촘촘한 꽃 무리 그리기 | 식물의 질감 | 버섯 그리기
10. 나무 그리는 법
원통과 윤곽선 그리기 | 도넛 윤곽선
나무껍질과 가지의 형태 | 침엽수 그리기 | 참나무 그리기
‘나무를 그린다는 것’을 다시 생각하기
11. 풍경 그리는 법 346
작은 풍경 스케치 | 바위 지형 그리기 | 산 풍경 그리기
풀밭의 찬란함 | 폭포 그리기
수채 물감으로 부서지는 파도 그리기 | 구름 관찰하기
수채 물감으로 하늘 그리기 | 일몰 그리기
마무리하며
참고문헌
옮긴이의 말
부록 휴대용 데이터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