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예술경영의 역사와 변천사
1. 역사적 관점에서의 예술경영 변천사
2. 고대 아고라 예술경영과 공공제의
3. 산업혁명과 예술의 만남
4. 산업자본 시대 예술 상업화·표준화
5. 1970년대 공연장의 다목적 활용 전략과 실행 방식
6. 다목적 운영 전략의 대표 사례 5선
7. 4차 산업혁명: 디지털 전환과 예술경영의 재정의 (2000년~현재)
8. NFT가 예술경영에 끼친 영향
9. 종합 정리 및 미래 예술경영의 방향성
Chapter 2 문화예술의 공공성
1. 문화예술의 정의
2. 공공성이란
3. 문화예술과 경영: 전통 경영과의 차별점, 공공성 전략 및 성과 평가
Chapter 3 문화예술 정책
1. 문화 정책이란?
2. 한국의 문화정책
3. 문화정책 지원단체
4. 해외 우수 문화정책 사례
Chapter 4 한국의 문화예술조직과 예술단체의 예산과 재원조성
1. 공공 문화예술 조직 vs 민간 문화예술 조직
2. 문화예술 조직의 구성요건과 운영
3. 문화예술단체의 예산과 재원조성
Chapter 5 공연예술 기획
1. 공연기획이란 무엇인가: 개념 정의와 해석
2. 공공성과 사명: 기관의 목적이 이끄는 기획
3. 예술적 타당성: 작품성과 창의성의 기준
4. 공연정보탐색
5. 관람공연 선택 및 결정
6. 공연관람후 평가
7. 관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8. 관객의 형성
9. 관객의 변화
10. 관객개발
11. 공연기획서 작성
Chapter 6 공연무대 종류
1. 프로시니엄 무대(proscenium)
2. 돌출 무대(Thrust Stage)
3. 원형 무대(Arena Stage, Theatre-in-the-Round)
4. 블랙박스 극장(Black Box Theatre)
5. 오픈 스테이지(Open Stage / Variable Stage)
6. 야외무대(Outdoor Stage / Amphitheatre)
Chapter 7 공연예술기획과 기업 메세나
1. 공연예술 마케팅의 이해
2. 기업 메세나 활동의 이해와 사례 분석
3. 기업 메세나 사례 분석: 금융권과 신(新) 산업을 중심으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