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프레임 너머의 전쟁: 한국전쟁은 어떻게 이미지-전쟁이 되었는가
1부 냉전의 이미지, 이미지의 전쟁:‘적’의 창출과 ‘우리’의 통합/균열
‘적(敵)’ 규정과 ‘전투적 냉전 주체’의 형성 / 김득중
‘우리’의 눈과 ‘적’의 프레임, 뉴스릴의 사상심리전《시보》, 《전진조선보》, 《전진대한보》를 중심으로 / 강성현
파편 속에서 찾은 기원 - 한반도 최초의 전투영화〈초소를 지키는 사람들〉(주인규, 1950)의 발굴과 분석 / 오영숙
미군의 북한 영상 노획과 심리전 영화 제작 / 전갑생
미국의 《빅픽처》 시리즈, 〈한국과 당신〉에서 드러나는 한미 친선의 서사와 주체의 균열 / 정영신
2부 피사체로 남은 흔적, 영상으로 지역사 쓰기 한국전쟁 푸티지 영상,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 강성현
한국전쟁 영상과 또 다른 대전 지역사 쓰기 교량과 철도 파괴 영상을 분석하다 / 임재근
통제된 이동과 경계의 조정
임진강 및 주변 지역 다리 영상을 중심으로 / 김민환
미군의 대한원조 영상, ‘미군대한원조(AFAK)’의 사상심리전 / 정영신
3부 마음을 포획하라: 포로를 둘러싼 심리전 미군 푸티지 영상으로 본 한국전쟁 포로교환과 그 이면 / 김일환
한국전쟁기 미군 포로 재현과 ‘안방’의 심리전《빅픽처》의 〈한국에서의 잔학행위〉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 최성용
CIA의 〈한국: 전쟁포로〉를 통해 본 북한노획영상 활용과 ‘세뇌’ 프로젝트 / 전갑생
영국군 포로는 북한에서 어떻게 취급되었다고 상상되는가? 영화 〈Captured〉와 세뇌(brainwashing) 이론의 영국적 적용 / 김민환
주
찾아보기
약어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