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2
일러두기 4
제1장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 9
1. 삼백육십육사〈三百六十六(366)事〉9
2. 홍범 9주(洪範九疇) 114
1) 5행(五行) 115
2) 5사(五事) 118
3) 8정(八政) 126
4) 5기(五紀) 140
5) 황극(皇極) 154
6) 3덕(三德) 157
7) 계의(稽疑) 160
8) 서징(庶徵) 163
9) 5복(五福) 165
제2장 한국교육철학의 시원(始原)으로서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의 특색 183
1. 인본사상(人本思想) 185
2. 주체사상(主體思想) 196
3. 이성주의 사상(理性主義 思想) 200
4. 정체사상(整體思想) 207
제3장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의 교육적 사유(思惟)로서 주체론(主體論) 211
1. 음양(陰陽)의 근본 법칙 211
2. 선성(善性)의 실재(實在) 213
3. 생성(生成)과 변화(變化) 215
4. 본체〈本體; 이(理)〉와 본성〈本性; 성(性)〉과 역할〈役割; 명(命)〉 216
5. 경(敬)과 의(義) 217
6. 명덕(明德) 219
7. 본래 인성〈本來 人性; 성(性)〉의 역할 천명(天命) 221
8. 교육적 사유(思惟)의 주체로서 성(誠) 223
9. 성(誠)의 교육 사상적 사유(思惟) 체계(體系) 227
제4장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의 교육적 사유(思惟)로서 가치론(價値論) 239
1. 인(仁) 239
1) 문교(文敎) 242
2) 행교(行敎) 317
3) 충교(忠敎) 326
4) 신교(信敎) 329
2. 예(禮) 333
1) 예(禮)의 내면적 속성 334
2) 예(禮)의 형식과 가치 337
3) 예(禮)의 교육적 사유(思惟)와 역할 340
제5장 한국교육철학의 시원(始原)으로서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 345
1. 전통사상(傳統思想)으로서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 346
2.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의 인식론(認識論) 349
1) 지식(知識)의 출발점 351
2) 지식(知識)의 방법과 과정 353
3) 교육적 사유(敎育的 思惟)의 바탕 354
3. 홍익인간론(弘益人間論)의 지적성장(知的成長) 356
4. 창조교육(創造敎育)의 함의(含意) 364
5. 인류공영(人類共榮)의 교육이념(敎育理念) 368
1) 교육실천으로서의 목적 370
2) 학교(學校)의 형성 371
3) 교육이념의 확립 409
참고문헌 424
발문 430
찾아보기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