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생각이 멈춘 시대에 생각하는 사람을 만나다
1부 의심하라, 끊임없이 자문하라
나는 고발한다, 당신의 뻔한 생각을
의심하라, 끊임없이 자문하라
지도층이라면 책임감을 가져야
경제 콘텐츠의 신경지를 연 〈삼프로 TV〉
고민이 없어 보였던 어느 대통령 후보
속아서 뽑아준 사람 책임이 더 크다
트럼프 시대에도 공략할 틈은 있어
과하다 싶을 정도의 경제 부양책 필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자영업
기대가 적으면 스트레스도 없다
새 일을 시작할 때의 세 가지 기준
취향이 돈이 되는 시대가 온다
2부 실패에 가혹한 풍토
현재 결혼제도에는 문제 많아
계엄령은 결국 소통 부족이 원인
진정한 과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성숙하고 독립된 성인을 못 키워서 문제
온라인 댓글은 진정한 소통이 아니다
실패에 가혹한 풍토가 의대 열풍의 한 원인
한강 둔치에 임대주택을 짓자
오너만 위한 경영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
실력자를 알아 보는 것도 능력
더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여겨 〈매불쇼〉 하차
나중에 도서관 만드는 게 꿈
3부 세상과 다른 이야기를 하는 사람도 필요하다
새벽 4시 반에 일어나서 책을 읽었던 아이
친구한테 맞고 생긴 폭력에 대한 트라우마
아르바이트를 통해 배운 사회생활
대학입시 제도가 수능으로 바뀐 것이 천행
PD 꿈꾸며 충남대 신방과 입학
간절하게 매달리지 못했던 젊은 시절이 후회되기도
퀴즈 프로그램 우승 상금으로 미국 유학을 결심
로스쿨에 도전하다
귀국 후 W에서 방송을 시작하다
팟캐스트의 가능성을 보고 〈똑똑한 12시〉 만들다
인생의 동반자 최욱을 만나다
기억에 남는 마광수 교수님
정확한 최욱의 판단력을 믿는다
세상과 다른 이야기를 하는 사람도 필요하다
4부 왜 젊은이들이 우울할까?
‘적정 성공’에 관한 채널 구상 중
성공에 관한 다양한 기준이 생겨야 한다
나도 적정 성공인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새 정부에서는 동적 균형감 가진 채널로 만들어가고 싶다
상대방의 얘기를 한번 들어는 봐야
가짜 뉴스의 부작용은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사실 적시 명예훼손의 딜레마
〈일당백〉은 오래 진행하고 싶어
‘르네상스인’이 많아졌으면
암묵지를 어떻게 전수할 것인가
한국에서 세계적인 플랫폼이 나오지 않는 이유?
한류는 지금이 정점으로 보여
유튜브 콘텐츠의 전망
박찬욱 영화나 아이유 등을 좋아한다
구성원과의 의견 차이를 극복하는 법
시간 나면 쿠바 등에 다녀오고 싶어
후기 사유의 온기와 사람의 향기를 지닌 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