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작가의 말
Ⅰ. 시간의 결, 기억의 온기
‘나’의 언어로 끌어들인 세계의 크기
기억의 산책, 삶의 아카이브
존재의 허기, 고행의 순례길
친밀한 타자, ‘언니’의 소환
시간의 결, 기억의 온기
Ⅱ. 기억과 서사의 프로타주
실존의 본래성과 삶의 아포리즘
경계의 존재, 예민한 시선
자기응시와 ‘개인’의 발견
행간의 풍경, 여백의 시선
기억과 서사의 베르누이
Ⅲ. 기억과 망각의 아포리아
실존의 무게, 세 가지 질문
소통의 철학, ‘한 알의 밀알처럼’
삶의 행간이 전하는 말
내밀한 시선들의 ‘비꽃’
기억과 망각의 아포리아
기억과 환영의 콜라주
Ⅳ. 기억 읽기와 자기 거리두기의 성찰
수필, 신산辛酸한 삶의 벤다이어그램
수필 가락, 국악 스토리텔링
수필 소묘素描
제3기 인생, ‘자등명自燈明·필등명筆燈明’
기억 읽기와 자기 거리두기의 성찰
Ⅴ. 수필의 결, 서사의 온기
‘1920년대 수필’에서의 미래적 전형典型 탐구
김열규의 수필론 연구
이육사 수필의 자기의식 연구
목성균 수필의 휴머니즘 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