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의 글
서장 스미소니언박물관 사진이 전하는 140년 전의 김규식 이야기
1 양반집 도련님, 언더우드 목사의 “존”(John)
2 선교팸플릿의 한국 소년(Korean Boy)
3 일본 엽서의 동자(童子)
4 스미소니언아카이브의 헐버트컬렉션
1장 김규식의 부친 김용원의 생애와 김규식의 언더우드 고아원 시절
1 버려진 병약한 어린아이 “본갑이”
2 김용원 혹은 김지성의 가계
3 도화서 화원 김용원의 일본 수신사 동행
4 “선략장군” 김용원의 일본 유학
(1) 경상좌도 우후ㆍ유리제조소 설립(1880)
(2) 조사시찰단ㆍ일본 유학(1881~1883)
5 대러 외교 밀사 김용원의 최후
(1) 귀국 후 활동: 촬영국ㆍ순화국 개설(1883)
(2) 대러 외교 밀사행(1884~1885)
6 언더우드 고아원에서 생존과 영어를 배운 김규식
2장 16살에 떠난 도미 유학: 의화군과의 관계
1 의화군의 일본 체류와 도미 유학
2 요코하마에 도착한 김규식과 언더우드·박윤규
3 의화군과 김규식의 미국 유학행
3장 로녹대학 시절: 새로운 세계, 평생의 친구를 만나다(1897~1903)
1 로녹대학의 한국 학생들
2 김규식의 학창 시절(1): 학업
3 김규식의 학창 시절(2): 주미공사관·의화군과의 관계
4 김규식의 학창 시절(3): 글쓰기와 토론, 졸업
4장 국내에서의 김규식(1904~1913)
1 YMCA 이사, 서기
2 흥화학교·경신학교 교사
3 미스터리한 도미 외교 시도(1905)
4 조은애와 결혼(1906)
5 한국 기독교회의 젊은 지도자
6 계몽·문화단체 지도자, 한글학자
5장 망명의 세월(1): 중국 망명 직후의 김규식(1913)
1 1913년 4월 2일 ‘오스트레일리아’로 출국
2 남경·상해 동제사 참가
3 제2차 중국혁명 참가(1913. 7)
4 세 차례 도미 유학생을 파견하다(1913)
5 상해·서울·샌프란시스코의 연계망
6장 망명의 세월(2): 중국에서의 김규식(1914~1918)
1 제1차 세계대전 발발과 북경·의주·고륜으로의 여정(1914)
(1) 북경에서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
(2) 외몽고 고륜행과 유동열ㆍ이태준ㆍ서왈보와의 사관학교 설립 계획
(3) 배일 비밀기관부의 ‘김만호’ 394
2 신한혁명당과 망명정부 수립 계획(1915)
3 대동단결선언과 공화주의·임시정부 수립 노선(1917)
(1) 대동단결선언과 임시정부 수립 노선
(2) 김규식의 참여와 그 의미
4 장가구와 고륜에서의 생활(1916~1918)
(1) 장가구ㆍ고륜에서의 외국상사 생활
(2) 첫 부인과의 짧은 재회ㆍ영원한 이별
에필로그
부록: 김규식 자필 이력서(1950. 3. 5)
참고문헌 │ 표·그림 목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