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장 소통
1. 가깝고 밀접한 관계가 소통을 더 어렵게 하는 이유
2. 기대감과 친밀감 사이의 간극
3. 생략된 말과 왜곡된 기대
4. 짜증은 상실된 기대의 그림자
5. 안다는 착각과 모른다는 용기
6. 역할 관계는 소통의 근원 원인
7. 인간의 관계성향 이면에는 본질적인 편견과 선입견이 있다
8. 편견과 선입견은 소통의 장애물
9. 소통은 역할이 오가는 통로
10. 순수소통은 편견과 선입견이 제거된 상태
11. 의식과 신념은 관계가 필요한 특성일 뿐, 고정된 운명은 아니다
12. 순수소통 vs 공감과 이해
2장 기분
1. 마음의 창을 들여다본다
2. 창 안에 두 그림자
3. 기분은 어디서 오는가
4. 감정은 어떻게 기분을 끌어내는가
5. 감정의 오해, 기분의 왜곡
6. 기분 속 감정 찾기
7. 감정 기반 소통이 관계를 지키는 힘
8. 감정 기반 소통: 관계마다 다른 전략
9. 감정은 방향이고, 기분은 상태다
3장 짜증
1. 알 수 없는 짜증
2. 논리는 맞는데, 감정은 불편해
3. 감정을 억눌러야 좋은 사람일까?
4. 짜증에 숨어 있는 진짜 감정
5. 짜증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
6. 짜증이 관계에 남기는 흔적
7. 짜증을 이해한다는 것
4장 일상 속 정의
1. 일상의 정의는 가까운 곳에 있다
2. 정의란 무엇인가: 관계 안에서의 첫 질문
3. 부부 사이의 정의: 사랑과 책임의 경계에서
4. 부모와 자녀 사이의 정의: 보호인가, 통제인가
5. 친구 사이의 정의: 거리 두기와 진심의 균형
6. 사회 속 정의: 시스템과 인간 사이에서
7. 일상의 정의는 질문을 멈추지 않는 마음이다
8. 정의는 멀리 있지 않다: 일상의 대화에서 피어나는 정의
9. 관계적 정의에 감정이 빠질 때 생기는 세 가지 문제점
10. 감정과 함께하는 관계적 정의가 주는 세 가지 변화
5장 일상 속 토론
1. 정반합을 넘어 관계로: 관계의 확장성
2. 우리의 논쟁은 결국 소통을 바란다
3. 정반합 구조의 한계: 논리를 넘어 감정으로
4. 감정이 말에 실릴 때 말 너머에 있는 마음을 듣게 된다
5. 정반합 토론의 문제점: 감정과 관계가 소외된 논리의 딜레마
6. 역할관계성이론에 기반한 새로운 토론 방식: 관계를 중심에 두다
7. 논리 중심 토론이 낳는 갈등과 대립의 구조: 말과 마음의 균열
8. 사례로 보는 정반합의 토론과 역할 관계성 토론의 실제
에필로그 - 마음이라는 길 위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