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4
추천의 글 8
Part 1 예술과 경영: 예술가처럼 경영하면 기업경영도 성공할 수 있다
1 예술경영과 기업경영은 고객만족을 통한 가치창출이라는 본질이 같다 19
2 예술도 기업도 상상력과 전략이 함께할 때 성공할 수 있다 21
3 예술도 기업도 스토리텔링을 통한 대중성이 있어야 성공할 수 있다 23
4 예술경영도 기업경영도 고객의 데이터와 감정을 모두 다뤄야 한다 29
5 예술과 기업경영은 기술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며 지속 가능해야 한다 31
6 예술은 국가 경쟁력을 키우는 공공 자산이다 33
Part 2 예술현장: 예술가는 결국 경영자다
1 예술은 왜 경영이 필요한가 43
2 예술과 시장의 접점을 찾아야 한다 49
3 예술경영은 현장의 생존 전략이 필요하다 55
4 지속 가능한 예술단체 운영 방법이 있다 64
5 예술경영의 철학과 미래 비전은 무엇인가 70
Part 3 공연제작: 창작 국악극의 브랜드화 성공 전략이 있다
1 창의적 스토리텔링 기반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83
2 예술적 전문성과 대중성을 결합한 공연 구성을 해야 한다 91
3 브랜드 확장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99
4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 전략이 있다 109
5 관객 맞춤형 콘텐츠와 교육적 가치를 결합해야 한다 117
6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장 전략을 세워야 한다 124
Part 4 공연장 운영: 예술가와 지역사회를 연결해야 한다
1 공연장 운영 기획과 제작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137
2 인력 운영과 조직 관리의 노하우가 있다 145
3 관객 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한다 153
4 재원 조성과 지속 가능성의 노하우가 있다 160
5 문화예술 교육 활성화 전략은 무엇인가 167
6 창작을 위한 예술공간 조성을 해야 한다 175
Part 5 창작 콘텐츠: ‘온고作신 Re-sign 프로젝트’가 있다
1 환경과 예술의 만남은 기적을 만든다 189
2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예술 창작은 이렇게 하면 된다 197
3 폐기물을 활용한 공공미술 프로젝트는 이렇게 하면 된다 205
4 지속 가능한 공연 예술은 이렇게 하면 된다 213
5 환경 교육과 예술의 결합은 이렇게 하면 된다 223
Part 6 재원 조성: 예술단체의 자생력 전략이 있다
1 재원 조성을 위한 핵심 전략은 이렇게 해야 한다 235
2 예술단체의 사회적기업 전환 전략은 이렇게 해야 한다 241
3 예술단체의 크라우드펀딩 활용 전략은 이렇게 해야 한다 252
4 예술단체의 미술품 렌탈 사업 전략은 이렇게 해야 한다 261
5 예술단체의 기업 메세나 상생 전략은 이렇게 해야 한다 270
6 예술단체의 개인 후원과 커뮤니티 활성화 전략은 이렇게 해야 한다 277
Part 7 지원사업: 문화예술 공모사업 실무 가이드
1 공모사업 기획과 작성은 이렇게 해야 한다 289
2 공모사업 실행과 홍보는 이렇게 해야 한다 301
3 공모사업 정산과 실적보고서 제출은 이렇게 해야 한다 312
4 세무 신고는 이렇게 해야 한다 323
부록: 문화예술 공공 지원기관 리스트 333
참고문헌 338
에필로그 340
출간후기 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