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언
제1장 울산대학교 근무의 계기
1. 우연이 계기가 된 필연
2. 미국 체류 중 전격 서울 방문
3. 심사숙고 겨를 없이 초빙 수락
4. 결심 후의 번민
제2장 임기 10년을 넘어서다
1. 임기를 시작하며
2. 2번째 임기에 다가서며
3. 3번째 임기에 다가서며
4. 임기 종료 1년여를 앞두며
제3장 역할의 정립과 다짐
1. 백지상태에서 객관적 진단 노력
2. 「자율성」속에 가려진 「혁신 의지」 촉진
3. 대학의 보편적 목표에 구성원의 공감 유도
4. 재단에 대한 기대 이전, 대학 스스로의 노력
제4장 대학 의사결정 체계의 정비와 쇄신
1. 「시스템 경쟁력」 확립
2. 객관적 정보의 확인, 합리적 결정의 출발점
3. 「위임·전결」의 유연성과 「재량·관행」에 대한 자기규제
4. 결정과정의 기록 정비
제5장 인력·예산의 쇄신
1. 경직성 경비의 조정과 재정수지의 균형
2. 직원 구조조정
3. 미래수요를 감안한 교수 충원
4. 예산심의의 정상화와 정례적 쇄신
5. RIS 사업 종료, 16억 원 반환
제6장 아시아대학총장회의(2017년) 울산 개최
1. 회의 유치 과정
2. 국제회의 토론 내용
3. 교비 사용에 대한 우려 해소
제7장 글로컬대학30 선정
1. 글로컬대학30 1차 심사
2. 최종 지원과정과 선발의 불확실성
3. 숙연했던 대면평가
4. 첫 해, 「10개 대학 선정」의 순간
5. 글로컬대학30 선정의 의미
6. 글로컬대학30 사업의 집행
제8장 「의대 교육」의 울산 현지화와 「아산의학관」준공
1. 「울산에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 제기
2. 의대·병원 간부들의 낙관적 전망과 한계
3. 「울산에서 의학 교육 실시」 입장 정립
4. 교육부, 대학간부 징계와 「울산에서의 교육 실시」 요청
5. 울산 「아산의학관」출범
6. 「의대 교육장」결실의 시사점
7. 의대 증원의 빛과 그림자
제9장 울산대병원의 역할 정립과 혁신
1. 울산대병원의 「부속병원」 전환
2. 상급병원 탈락의 충격
3. 상급병원 복귀와 혁신 분위기 형성
4. 혁신의 출발 : 비용구조 개선 통한 재정 건실화
5. 혁신의 성공 요인 : 지속적 리더십과 팀워크 정신
제10장 하드웨어(hardware) 부문의 완성사례
1. 울산 산학융합지구 분교(分校) 출범
2. KCC 생활관 신축
3. 아산도서관 공간혁신 사업
4. 대학 후문 교지의 「공용 인도(人道)」조성
5. 글로컬교육센터 건립(안)
제11장 임기 10년 기간의 리더십 유형
1. 「managerial leadership」의 시발(始發)
2. 「institutional leadership」의 진전(進展)
3. 「innovative leadership」의 격상(格上)
글을 마무리 하며
〈부록〉
1. 월간중앙 인터뷰(2019.2.20.)
2. 코리아중앙데일리 인터뷰(2017.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