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 서로의 반경 안에서 다시 연결되기 위하여 7
들어가는 말 | 공감의 두 힘, 구심력과 원심력 간의 투쟁 11
1부 공감이 만든 혐오공감이 혐오
1장 느낌에서 시작되는 배제와 차별 25
2장 부족 본능, 우리 아닌 그들은 인간도 아니야 41
3장 코로나19의 대유행, 혐오의 대유행 62
4장 알고리듬, “주위에 우리 편밖에 없어” 95
2부 느낌을 넘어서는 공감
5장 내 혐오는 도덕적으로 정당하다는 믿음 121
6장 첫인상은 틀린다 142
7장 느낌의 공동체에서 사고의 공동체로 153
8장 처벌은 어떻게 공감이 되는가 167
9장 마음의 경계는 허물어지고 있다 177
3부 공감의 반경을 넓혀라
10장 본능은 변한다, 새로운 교육을 상상하라 195
11장 누구나 마음껏 비키니를 입는다면 216
12장 편협한 한국인의 탄생 228
13장 한국인의 독특함이 족쇄가 되다 240
14장 타인에게로 향하는 기술 260
15장 접촉하고 교류하고 더 넓게 다정해지기 269
4부 새로운 세대를 위한 공감 교육
16장 내 새끼 지상주의, 공멸의 길 281
17장 무엇이 아이를 자라게 하나 290
18장 대학의 거대한 전환을 요구한다 305
5부 사고의 공동체를 조직하는 정치
19장 감정의 정치를 넘어 333
20장 우리 모두를 품는 안전의 여유분 350
21장 화해는 어떻게 가능한가 361
나가는 말 | 멸망의 길과 생존의 길 370
감사의 글 374
주 376
그림 출처 393
찾아보기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