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동물과 함께했던 사람들의 역사 ㆍ 4
_ 문만용 (전북대)
1부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사ㆍ17
1. 한국사를 보는 새로운 시각, 생태환경사
_ 고태우 (서울대) ㆍ 19
2. 동물사란 무엇인가: 영어권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_ 이종식 (포항공대) ㆍ 72
2부 전근대 역사 속 인간의 동물 이해ㆍ101
1. 유교적 짐승: 조선 초기의 사람과 짐승 관계
_ 조지 로렌스 캘린더 (시라큐스대학) ㆍ 103
2. 조선 후기 곤충에 대한 새로운 이해: 유희(柳僖)와 이규경(李圭景)의 곤충 연구를 중심으로
_ 노상호 (이화여대) ㆍ 140
3. 『임원경제지 전어지(佃漁志)』를 통해 본 조선 후기 동물 지식
_ 정명현 (임원경제연구소) ㆍ 170
3부 일제강점기 인간과 동물의 관계 맺기ㆍ245
1. ‘박물원’에서 테마파크로 : 일제강점기 창경원 동물원의 설립과 변용
_ 김성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ㆍ 247
2. 일제 초기 이종 개량 기술의 이식과 조선우(朝鮮牛) 개량
_ 노성룡 (고려대) ㆍ 274
3. 누구를 위한 ‘구제(驅除)’인가? : 일제강점기 사냥 제도와 야생동물 관리
_ 김미숙 (전북대) ㆍ 310
4부 현대사회 인간이 만든 동물의 자리ㆍ333
1. 양조(洋鳥)와 야조(野鳥): 새 기르기 실천을 통해 본 인간-야생 조류 관계 변천사, 1956-2001
_ 성한아 (카이스트) ㆍ 335
2. 한국 어류 연구의 계보학
_ 홍양기 (국립중앙과학관)ㆍ 371
3. 가축 전염병과 방역의 지역사
: 1950~2021년 정착 농원에서 축산 집합 단지로, 가축 전염병의 발생·확산·소멸에 대한 기록
_ 양예숙 (전북대) ㆍ 392
4. 무형유산이 된 매사냥, 전통과 취미 사이
_ 김미숙 (전북대) ㆍ 438
저자 소개 ㆍ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