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골목이라는 열쇠 말로 살펴본 인권 현실
1. 길을 바꾸면 소통이 달라진다 (정석)
개발 시대가 남긴 도시 풍경
제2공화국 장준하 선생의 국토 개발 구상
자동차 중심에서 보행자 중심으로
모더니즘 건축의 실패작, 프루이트-아이고 프로젝트
자동차에 빼앗긴 도시 공간
길을 바꾸면 소통이 달라진다
보행자를 위한 영국 횡단보도 사례
자전거 도시 쿠리치바의 멋진 상상력
프랑스 파리의 파격적인 실험
도시 공간을 시민의 품으로
2. 독일의 골목에서 만나는 말들 (정범구)
인권은 끊임없이 변하는 가치
“한국에도 눈이 오나요?”
유럽 중심주의와 키슬링 사건
유학 시절 체험한 독일 자동차 공장의 위계
동독 차별과 극우 세력의 준동
전 세계의 화두가 된 난민 문제
극우의 언어와 희생양 찾기
독일에서 벌어진 경찰 인권 교육 논쟁
3. 골목에서 만나는 동서양 교류 1만 년의 역사 (이희수)
터키는 왜 튀르키예가 되었나
인류 최초의 문명 실험장인 튀르키예와 이스탄불
골목에서 만나는 동서양 교류 1만 년의 역사
한국에 매우 특별한 나라, 튀르키예
기독교와 이슬람이 공존하는 문화
공동체 문화가 빚은 정겨운 골목 풍경
와크프 전통에 담긴 자비와 포용의 문화
유학 시절 체험한 라마단 풍습
이슬람에 관한 오래된 편견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도시
튀르키예에는 없는 터키석과 터키탕
세계 최초의 카페가 이스탄불 골목길에
4. 거리의 외국인과 골목의 한국인 (김희교)
근대 국가의 세 가지 조건
세계인이 놀란 한국의 골목 문화
시험받는 한국의 민주주의
내란 사태 속 중국 혐오의 기원
광장의 문화와 경쟁 시스템
한국은 이미 인종 차별 국가
경제 지상주의라는 함축적 근대화의 산물
혐오를 이기는 K-민주주의의 힘
21세기에 펼치는 전봉준의 꿈
5. 소통의 공간에서 인권을 배우다 (강대중)
학습은 권리일까, 의무일까?
배움은 인권입니다
소설에 드러난 해방 후 한국인의 삶
사라진 골목, 소통 없는 도시
복도를 열어 학교를 바꾸자
소통의 공간에서 인권을 배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