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론
왜 투르크 민족사인가?
투르크인은 누구인가?
투르크 세계의 지리적·역사적 배경
제1장 초기 투르크 유목 민족들: 철륵, 돌궐, 위구르
1. 철륵: 최초의 투르크 유목민 집단
2. 돌궐: 최초의 투르크 제국을 건설한 유목 민족
3. 위구르: 철륵계 제국을 건설한 유목 민족
제2장 남시베리아, 중앙아시아, 킵착 초원의 투르크 민족: 키르기즈, 하자르, 불가르, 카라한, 킵착
1. 키르기즈: 남시베리아의 투르크계 혹은 투르크화한 민족
2. 하자르: 유대교로 개종한 돌궐의 후예
3. 불가르: 오구르 투르크 민족
4. 카라한 투르크: 중앙아시아 최초의 무슬림 투르크인
5. 킵착 유목민: 킵착 초원을 지배한 유목민 집단
제3장 서아시아와 중동의 오구즈계 투르크 민족: 오구즈, 셀주크, 오스만, 투르크멘
1. 오구즈: 페르시아 -이슬람 세계의 투르크 민족
2. 셀주크: 수니파 이슬람 제국을 건설한 오구즈 집단
3. 오스만: 세계 제국을 건설한 투르크멘 민족
4. 투르크멘: 근세 이란의 지배 민족
제4장 킵착 초원과 중앙아시아의 몽골계 투르크 민족(‘투르크-몽골인’): 주치 울루스, 차가타이 울루스
1. 차가타이: 중앙아시아의 몽골계 투르크인(‘투르크-몽골인’)
2. 우즈벡: 주치 울루스의 몽골계 투르크인(‘투르크-몽골인’)
3. 카자흐: 주치 울루스의 몽골계 투르크인(‘투르크-몽골인’)
4. 크림 타타르: 서부 주치 울루스의 몽골계 투르크인(‘투르크-몽골인’)
맺음말
부록 1 투르크어족
부록 2 투르크 민족들의 계보
부록 3 연대표
감사의 말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