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일 한문 공부 2 반포지효(反哺之孝) 오도일관(吾道一貫) 허권수
☆☆☆☆☆ 평점(0/5)
태학사 | 2025-07-21 출간
판매가
30,000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상품정보
책 소개
목차
서문

151. 반포지효(反哺之孝) - 되갚아 먹이는 효성
152. 예상왕래(禮尙往來) - 예의는 오고 가는 것을 숭상한다
153. 시위소찬(尸位素餐) - 아무 하는 일 없이 자리만 차지하고 공연히 녹만 먹는다
154. 발본색원(拔本塞源) - 뿌리를 뽑고 근원을 막는다
155. 문도어맹(問道於盲) - 장님에게 길을 묻는다
156. 사속삭즉악인창(赦贖數則惡人昌) - 사면이나 속죄를 자주 하면 나쁜 사람이 번창한다
157. 위불기교, 녹불기치(位不期驕, 祿不期侈) - 벼슬자리를 얻으면 교만해서는 안 되고, 녹을 받으면 사치해서는 안 된다
158. 역지사지(易地思之) - 처지를 바꾸어서 생각한다
159. 용두사미(龍頭蛇尾) - 용의 머리에 뱀 꼬리. 시작은 거창하나 결과는 없는 것
160. 인시제의(因時制宜) - 때에 인하여 알맞음을 만든다. 시대에 따라 적절한 대책을 세운다
161. 재경덕박(材輕德薄) - 자질은 가볍고 덕은 얇다
162. 거위존진(去僞存眞) - 허위는 버리고 참된 것을 간직하자
163. 몽중설몽(夢中說夢) - 꿈속에서 꿈 이야기 한다
164. 연작처옥(燕雀處屋) - 제비와 참새가 집에 깃들어 산다. 위기가 닥치는 줄도 모른다
165. 어불성설(語不成說) - 말이 이야기를 이루지 못한다. 되지도 않는 이야기를 한다
166. 관리도치(冠履倒置) - 갓과 신이 거꾸로 놓이다
167. 불경지설(不經之說) - 이치에 맞지 않는 말
168. 각답실지(脚踏實地) - 발로 실제 땅을 밟고 산다
169. 소인무붕(小人無朋) - 소인들은 당(黨)이 없다
170. 인고내로(忍苦耐勞) - 괴로움을 참고 수고로움을 견디다
171. 한우충동(汗牛充棟) - 책이 많아 옮기려면 소가 땀을 흘리고, 집에 재어 두면 집이 가득 찬다
172. 빙탄불상용(氷炭不相容) - 얼음과 숯불은 서로 용납하지 않는다
173. 자식기언(自食其言) - 스스로 그 말을 먹어 버린다. 약속한 것을 스스로 어긴다
174. 민유방본(民惟邦本) - 백성이 오직 나라의 근본이다
175. 화종구출(禍從口出) - 재앙은 입에서부터 나온다
176. 복복수수(福復壽酬) - 복이란 자기 한 일을 돌려받는 것이고, 오래 사는 것은 자기 한 짓에 대한 응보다
177. 감탄고토(甘呑苦吐) - 달면 삼키고 쓰면 토해 낸다
178. 진충보국(盡忠報國) - 충성을 다하여 나라에 보답한다
179. 문약서생(文弱書生) - 글만 하면서 나약한 선비
180. 완물상지(玩物喪志) - 사물을 즐기다가 자신의 뜻을 잃고 만다
181. 사본구말(捨本求末) - 근본은 버려두고 말단적인 것만 구한다
182. 진가난변(眞假難辨) - 진짜와 가짜를 구별하기 어렵다
183. 간명범의(干名犯義) - 이름을 구하려고 의리를 범하다
184. 창해유주(滄海遺珠) - 너른 바다에 구슬을 버려두다
185. 명실상부(名實相符) - 이름과 실제가 서로 들어맞다
186. 심원의마(心猿意馬) - 마음은 원숭이처럼 날뛰고, 뜻은 말처럼 달린다
187. 부엄모자(父嚴母慈) - 아버지는 엄하고 어머니는 자애롭다
188. 사엄생경(師嚴生敬) - 스승은 엄격하고 학생은 공경하여야 한다
189. 관자, 예의지시(冠者, 禮義之始) - 관례는 예의의 시작이다
190. 지록위마(指鹿爲馬) - 사슴을 가리켜서 말이라 한다
191. 불중불위(不重不威) - 무게 있게 처신하지 않으면 위엄이 없다
192. 복수난수(覆水難收) -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
193. 관인대도(寬仁大度) - 너그럽고 어질어 도량이 크다
194. 배중사영(杯中蛇影) - 잔 속의 뱀 그림자
195. 칠전팔기(七顚八起) - 일곱 번 엎어져도 여덟 번 일어난다
196. 이가난진(以假亂眞) - 가짜로써 진짜를 어지럽힌다
197. 진석성명(珍惜性命) - 생명을 진귀하게 여기고 아낀다
198. 양호상투, 필유일상(兩虎相鬪, 必有一傷) - 두 마리의 호랑이가 싸우면 반드시 한 마리는 부상을 당한다
199. 이덕보덕(以德報德) - 은덕으로써 은덕을 갚는다
200. 봉공여법(奉公如法) - 공적인 일을 법대로 받들어 행한다
201. 고인심현(扣人心弦) - 사람의 마음의 거문고 줄을 두드린다. 사람을 감동시킨다
202. 가호장위(假虎張威) - 거짓 호랑이가 위세를 펼친다. 가짜가 판을 친다
203. 읍참마속(泣斬馬謖) - 울면서 마속의 목을 베다
204. 일확천금(一攫千金) - 한꺼번에 천금을 움켜쥐다
205. 멸사봉공(滅私奉公) - 사적인 것을 없애고 공적인 것을 받들어 행한다
206. 금석지감(今昔之感) - 지금과 옛날은 다르다는 느낌
207. 여정도치(勵精圖治) - 정신을 분발하여 다스리기를 도모한다
208. 이언사군(以言事君) - 말로써 임금을 섬긴다
209. 아행아소(我行我素) - 나는 나의 본래대로 행한다
210. 단장취의(斷章取義) - 문장을 잘라서 자기가 필요한 뜻만 취하다
211. 정자정야(政者正也) - 정치란 바르게 하는 것이다
212. 소향무전(所向無前) - 향하는 곳에 앞을 막는 것이 없다
213. 지성감신(至誠感神) - 지극한 정성은 귀신도 감동시킨다
214. 점입가경(漸入佳境) - 점점 아름다운 지경으로 들어간다. 갈수록 점점 재미있어진다
215. 개근식실(漑根食實) - 뿌리에 물을 대 주어야 열매를 맺는다
216. 심기일전(心機一轉) - 마음의 틀을 한 번 바꾸다
217. 겸용병포(兼容幷包) - 아울러 포용한다
218. 화충상제(和衷相濟) - 속마음을 합하여 서로 일을 이루어 나간다
219. 거인자희(拒人自喜) - 다른 사람의 말을 거절하며 스스로 기뻐한다
220. 과포상인(過飽傷人) - 지나치게 배불리 먹는 것은 사람을 상한다
221. 향우비읍(向隅悲泣) - 모퉁이를 향해서 슬피 운다
222. 천인합일(天人合一) - 하늘과 사람은 하나로 합쳐져 있다
223. 견풍전타(見風轉舵) - 바람을 보고 배의 키를 돌려야 한다
224. 점철성금(點鐵成金) - 쇠를 만져 금으로 만들다
225. 물극필반(物極必返) - 사물이 극도에 이르면 반드시 돌아온다
226. 천명미상(天命靡常) - 천명은 일정하지 않다
227. 부저추신(釜底抽薪) - 가마 밑에서 땔나무를 빼어내라
228. 경공형평(鏡空衡平) - 거울처럼 투명하게, 저울대처럼 공평하게
229. 언득기의(言得其宜) - 말은 그 알맞음을 얻어야 한다
230. 처사횡의(處士橫議) - 벼슬 없는 선비들이 멋대로 논의한다
231. 노안비슬(奴顔婢膝) - 노비 같은 얼굴과 걸음걸이
232. 장세기인(仗勢欺人) - 권세에 기대어 사람을 속인다
233. 귀득기리(貴得其理) - 그 이치를 얻는 것을 귀하게 여긴다
234. 시비전도(是非顚倒) - 옳은 것과 잘못된 것이 거꾸로 된다
235. 심입천출(深入淺出) - 깊게 들어가 이해하여 쉬운 말로 표현한다
236. 중지성성(衆志成城) - 여러 사람의 뜻은 성처럼 무엇이든지 막아 낼 수 있다
237. 절기망상(切忌妄想) - 망령된 생각을 절실하게 꺼린다
238. 고위금용(古爲今用) - 옛날 것을 지금 사용한다
239.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
240. 실사구시(實事求是) - 실제적인 일에서 옳음을 구한다
241. 식전방장(食前方丈) - 음식이 사방 한 길 되는 상에 차려져 있다
242. 면배수적(面背受敵) - 얼굴이나 등에서 모두 적의 공격을 받는다
243. 맹구치부목(盲龜値浮木) - 눈먼 거북이가 물에 떠 있는 나무를 만나다
244. 음식유절, 기거유상(飮食有節, 起居有常) - 음식은 절제가 있고, 거처는 일정함이 있게 한다
245. 면광어랄(面狂語辣) - 얼굴은 미친 듯하고, 말은 고약하다
246. 화충공제(和衷共濟) - 속마음을 화합하여 함께 일을 해결해 나간다
247. 자무기탄(恣無忌憚) - 멋대로 하여 거리끼는 바가 없다
248. 인정승천(人定勝天) - 사람이 마음을 확정하면 하늘을 이긴다. 사람의 의지가 자연적인 난관을 극복한다
249. 사본취말(捨本取末) - 근본적인 것은 버리고 말단적인 것을 취한다
250. 이대도강(李代桃僵) - 오얏나무가 복숭아나무를 대신해서 쓰러지다. 작은 목적은 큰 목적을 위해서라면 희생할 수도 있다
251. 존조경종(尊祖敬宗) - 조상을 높이고 공경한다
252. 중추가절(中秋佳節) - 가을 중간의 아름다운 명절, 추석
253. 문방사보(文房四寶) - 글하는 사람의 방에 있는 네 가지 보배. 붓, 먹, 종이, 벼루
254. 경소식중(耕少食衆) - 밭 가는 사람은 적고 먹는 사람은 많다
255. 이욕훈심(利慾熏心) - 이익을 바라는 욕심이 마음을 흐리게 한다
256. 지이인명(地以人名) - 땅은 사람으로 인해서 이름이 난다
257. 유소대방(遺笑大方) - 대단한 전문가에게 웃음을 남긴다
258. 경자유전(耕者有田) - 밭 가는 사람이 전답을 가져야 한다
259. 처번이유(處煩而裕) - 번거로운 일에 대처하여 느긋하게 처신한다
260. 적비성시(積非成是) - 잘못을 계속하면 옳은 것처럼 생각하게 된다
261. 문신불애전(文臣不愛錢) - 문신은 돈을 좋아하지 않아야 한다
262. 표동벌이(標同伐異) - 같은 것은 드러내 주고 다른 것은 쳐서 없앤다
263. 천운순환(天運循環) - 하늘의 운수는 돌고 돈다
264. 여우구생(與憂俱生) - 사람은 근심과 더불어 살아간다
265. 전철가감(前轍可鑑) - 앞 수레의 바큇자국을 거울로 삼을 만하다
266. 경재희시(輕財喜施) - 재물을 가벼이 여겨 베풀기를 좋아한다
267. 세불아연(歲不我延) - 해는 나를 위해서 늦추어 주지 않는다
268. 호외불외기자(虎畏不畏己者) - 호랑이도 자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것을 두려워한다
269. 란이무서(亂而無緖) - 어지러워 두서가 없다
270. 호승지벽(好勝之癖) - 이기기를 좋아하는 병적인 버릇
271. 욕존선겸(欲尊先謙) - 존경을 받으려면 먼저 겸손하라
272. 형제투금(兄弟投金) - 형님과 아우가 금을 던져 버리다
273. 무왕불복(無往不復) - 가서 돌아오지 않는 것은 없다
274. 동고동락(同苦同樂) - 다른 사람과 같이 괴로워하고 같이 즐거워한다
275. 퇴경정용(槌輕釘聳) - 망치가 가벼우면 못이 솟는다
276. 손상익하(損上益下) - 위를 덜어서 아래에 더해 준다
277. 각주구검(刻舟求劍) - 뱃전에다 금을 새겨 칼을 찾다
278. 각종기지(各從其志) - 각자 그의 뜻대로 한다
279. 견인불발(堅忍不拔) - 굳게 참아 내 뽑히지 않는다
280. 사본축말(捨本逐末) - 근본적인 것을 버리고 말단적인 것을 쫓는다
281. 표리부동(表裏不同) - 겉과 안이 같지 않다. 겉 다르고 속 다르다
282. 무동불춘(無冬不春) - 겨울이 없으면 봄이 오지 않는다
283. 석고대죄(席藁待罪) - 짚 거적을 깔고 자기 죄에 대한 처벌을 기다린다
284. 절군발류(絶群拔類) - 무리에서 뛰어나다
285. 온고지신(溫故知新) - 옛것을 익히면서 새것을 알아 나간다
286. 우후죽순(雨後竹筍) - 비 온 뒤에 돋아난 죽순. 빽빽이 많다
287. 건곤일척(乾坤一擲) - 천지를 걸고 한번 던지다. 운명을 걸고 마지막 승패를 걸다
288. 한마지공(汗馬之功) - 말을 땀 흘리게 달려 이룬 공
289. 지공무사(至公無私) - 지극히 공정하여 사사로움이 없다
290. 민기불휼(民飢不恤) - 백성들이 굶어도 불쌍히 여기지 않는다
291. 초군절륜(超群絶倫) - 보통 사람보다 뛰어나다
292. 상전벽해(桑田碧海) - 뽕나무밭이 푸른 바다가 된다
293. 환부역조(換父易祖) - 아버지를 바꾸고 할아버지를 바꾼다. 조상을 허위로 날조한다
294. 언전어도(言顚語倒) - 말이 순서가 뒤바뀌어 엉망이 된다
295. 불변충간(不辨忠奸) - 충신과 간신을 분별하지 못한다
296. 포생중질(飽生衆疾) - 배부름은 여러 가지 병을 낳는다
297. 과유불급(過猶不及) -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다
298. 상유지보(桑楡之補) - 늘그막에 인생을 보완한다
299. 무장공자(無腸公子) - 속없는 사람
300. 오도일관(吾道一貫) - 나의 도는 한 가지로 꿰뚫는다
책제원정보
ISBN 9791168103542
판형정보 504쪽 / 153 X 225mm
출판사 태학사
출판일 2025-07-21 출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 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
        (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에는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

선택된 상품

  • 150일 한문 공부 2 반포지효(反哺之孝) 오도일관(吾道一貫)
    27,000원

총 주문금액

27,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