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제1절 재난의 개념
제2절 재난의 유형 및 분류
제3절 재난, 재해 및 안전 개념 구분
제4절 재난의 특성
제5절 재난관리 단계별 활동
제6절 재난관리 방식
제2장 재난관리체계
제1절 재난관리체계의 의의
제2절 재난관리체계의 변천과정
제3절 재난관리체계의 조직 및 기능
제3장 재난관리 단계별 활동
제1절 재난관리 단계별 활동에 관한 주요 이론 및 모형
제2절 재난관리 단계별 주요 내용
제4장 자연재난의 유형별 특성
제1절 자연재난의 개념
제2절 자연재난의 특징
제3절 유형별 재난관리
제4절 태풍
제5절 가뭄
제6절 폭염
제7절 강풍
제8절 대설
제9절 한파
제10절 조류
제11절 화산
제12절 지진
제13절 홍수
제14절 풍랑
제5장 사회재난의 유형별 특성
제1절 사회재난의 개념
제2절 사회재난의 특징
제3절 화재
제4절 붕괴
제5절 폭발
제6절 교통사고
제7절 화생방사고
제8절 환경오염사고
제9절 다중운집인파사고
제10절 감염병
제11절 가축 전염병
제12절 미세먼지
제13절 국가기반체계 마비
제6장 재난심리
제1절 재난심리의 개념과 특성
제2절 재난의 심리행동적 영향
제3절 재난 후 심리적 변화
제4절 재난심리의 기반 이론: 주요 심리학 관점의 통합
제5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제6절 심리적 응급처리
제7절 재난심리회복지원센터
제8절 국가트라우마센터
제7장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및 관련 사례
제1절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법적 기반
제2절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의 구성 요소 분석
제3절 분야별 안전관리 대책
제8장 기업재난관리
제1절 기업재난관리의 배경 및 필요성
제2절 업무연속성관리의 개념과 정의
제3절 업무연속성관리체계의 핵심 개념과 운영체계
제4절 기업재난관리 관련 법적 기반
제5절 결론
제9장 외국의 재난관리
제1절 국제협력
제2절 유엔 재난위험경감사무국
제3절 센다이 재해위험경감 프레임워크
제4절 인도주의 구호
제5절 재해에 강한 도시 만들기
제6절 미국 연방관리청
제7절 통합지휘체계
제8절 재난난민
제10장 인공지능과 재난관리
제1절 재난 감시와 예측
제2절 재난 대응과 관리
제3절 재난 의사결정과 통합 운영
제11장 재난관리의 발전 방향
제1절 재난관리, 지속적 변화와 혁신 필요
제2절 우리나라 재난관리의 변천
제3절 재난환경의 변화
제4절 우리나라 재난관리의 발전 방향
제5절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