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Ⅳ. 주요 국가별 스마트시티 추진 사례 분석과 현지 진출 전략
1. 해외 스마트시티 추진 사례 분석
1) 스마트시티 발전 배경
(1) 스마트시티의 정의
(2) 스마트시티 성장 배경
(3) 스마트시티의 중요성
(4) 스마트시티 향후 전망
2)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규모 및 전망
(1) 시장 성장률의 지속적인 성장 전망
(2) 권역별 시장규모 및 전망
(3) 분야별 시장규모 및 현황
3) 권역별 스마트시티 특징 및 벤치마킹 사례 분석
(1) 국가별 스마트시티 전략 특징
① 동북・동남아시아
② 유럽 및 북미
③ 중남미
④ 중동・중앙아시아
⑤ 아프리카
(2) 분야별 벤치마킹 사례 분석
가. 교통·물류
① 보스턴: Smart Parking
② 항저우: 실시간 교통 흐름 제어 시스템
③ 뉴욕: LinkNYC
나. 인프라·도시시설 관리 및 개발
① 바르셀로나: 조경 관리 기술 도입 (센서 활용)
② 뉴욕: 스마트 IoT 쓰레기통, Bigbelly
다. 에너지·환경
① 베드제드(BedZED): 스마트 그린 타운 조성 사례
② 암스테르담 쥬젠벨드: 실시간 에너지 모니터링 시스템 (스마트 미터기 활용)
라. 보안·안전(재난 방재)
① 뉴욕: 영상분석기술 방범 및 차량 모니터링 DAS(Domain Awareness System)
② 싱가포르: Virtual Singapore
마. 헬스케어
① 미국: 인공지능 기반 질병 진단 소프트웨어
바. 정부·교육·문화·사회
① 싱가포르: Smart nation의 Moment of life
② 마드리드: MiNT (Madrid Inteligente)
4) 스마트시티 지수로 본 경쟁력 분포
(1) IMD의 스마트시티 지수
(2) 권역별 IMD의 스마트시티 지수 종합
5)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 사례
(1)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2) 국내 스마트시티 사례
가. 세종 5-1 생활권
나.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Eco Delta City)
2. 스마트시티 국가별 현황 및 정책
1) 스마트시티 선도국가
(1) 국가 주도 발전 국가
가. 스위스
나. 싱가포르
다. 중국
라. 대만
마. 사우디아라비아
바. 스페인
사. 일본
(2) 도시 주도 발전 국가
가. 덴마크
나. 영국
다. 핀란드
라. 아랍에미리트
마. 독일
바. 체코
사. 네덜란드
아. 미국
자. 폴란드
차. 이탈리아
2) 스마트시티 신흥 국가
(1) 국가 성장을 도모하는 국가
가. 말레이시아
나. 태국
다. 튀르키예
라. 베트남
(2) 디지털 기반 확충에 주력하는 국가
A. 인도네시아
B. 인도
C. 콜롬비아
D. 필리핀
E. 멕시코
F. 아르헨티나
G. 브라질
H. 케냐
I. 페루
J. 몽골
K. 세르비아
L. 에콰도르
M. 에티오피아
N. 라오스
O. 아제르바이잔
P. 우즈베키스탄
Q. 카자흐스탄
3) 해외 스마트시티 진출 전략
(1) 스마트시티 발전 양상 및 경쟁력 순위 분포
(2) 스마트시티 발전 양상에 따른 국가별 정책 분석
(3) 스마트시티 발전 양상에 따른 진출전략
가. 국가 주도의 스마트시티 선도국가
나. 도시 주도의 스마트시티 선도국가
다. 국가 성장을 도모하는 스마트시티 신흥국가
라. 디지털 기반 구축에 집중하는 스마트시티 신흥국가
3. 국내외 스마트시티 개발 사례
1) 한국과 세계 주요 국가 스마트시티 정책
(1) 한국의 스마트시티 정책
가. 한국의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나. 한국의 스마트도시계획 수립
① 스마트도시계획 수립 절차
② 스마트도시 건설사업의 추진 절차
(2) 세계 주요 국가 스마트시티 정책
가. 유럽
① 스마트시티 추진 필요성
②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 영국
ⓑ 스페인
나. 미국
① 스마트시티 추진 필요성
②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다. 페루
① 스마트시티 추진 필요성
②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라. 일본
① 스마트시티 추진 필요성
②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마. 싱가포르
① 스마트시티 추진 필요성
②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바. 베트남
① 스마트시티 추진 필요성
②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4. 한국의 스마트시티 추진사례
1) 서울시 스마트시티
(1) 개요
(2) 추진전략
가. 스마트시티 서울의 3개 핵심축을 중심으로 추진
나. 개별 사업들의 공간단위 통합·연계로 도시공간 혁신 도모
다. 개별 스마트기술 통합 검증 후 서울시 차원으로 확대 적용
라. 기업·학교·시민 참여 협력체계 구축
마. 전담 기획조직 구성과 실무조직 마련
바. 신기술 실증 및 산업 선순환구조 창출을 위한 제도적 지원 필요
사. 신기술 실증을 위한 규제 완화
(3) 주요내용
가. 정보화 및 교통안전 분야 시민편의 서비스 도입
나. 기존 산업단지의 재편 및 신산업단지 조성을 통한 산업구조 혁신 시도
다. 친환경에너지 도입 확대 노력
2) 세종시 스마트시티
(1) 개요
(2) 추진전략
가. 모빌리티
나. 헬스케어
다. 교육
라. 에너지와 환경
(3) 주요 내용
가. 모빌리티 서비스
나. 자율주행 규제자유특구 지정
다. 도심형 수요응답형 버스 운행
3) 부산시 스마트시티
(1) 개요
(2) 추진 전략
(3) 주요 내용
가. Smart Life for Future
나. Smart Link for Sharing
다. Smart Place for Everyone
4) 대구시 스마트시티
(1) 개요
(2) 추진 전략
(3) 주요 내용
5) 경기도 시흥시 스마트시티
(1) 개요
(2) 추진 전략
(3) 주요 내용
5.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산업 동향과 유망산업 분석
1)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도입 배경 및 현황
(1)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도입 배경
(2)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3) 국가별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가. 르완다
나. 모리셔스
다. 가봉
라. 탄자니아
마. (기타) 가나, 나이지리아, 에티오피아, 니제르
2) 각국의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 동향
(1) 아프리카 내 주요 경쟁국 스마트시티 진출 동향
(2) 국제기구 對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지원 정책
(3) 대한민국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사례분석
3)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시장 전망
(1)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전망
(2) 아프리카 스마트시티의 기회 요소
(3) 아프리카 스마트시티의 당면 과제
4)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사례 분석 및 관련 유망산업 도출
(1)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관련 주요 산업 부문
(2)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관련 유망산업
〈별첨〉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별 개발 현황
가. 케냐 : 콘자 테크노폴리스(Konza Technopolis)
나. 나이지리아 : 에코 애틀랜틱(Eko Atlantic)
다. 남아프리카공화국 : 워터폴 시티(Waterfall City)
라. 르완다 : 키갈리 이노베이션 시티(Kigail Innovation City, KIC)
마. 모리셔스 : 몬트레소르(Mon Trésor) 스마트시티
바. 베냉 : 세메 시티(Sèmè City)
Ⅴ. 아시아 주요 도시별 스마트시티 개발 현황과 현지 비즈니스 전략
1. 리야드
1) 사우디 정책 및 개발 현황
(1) 관련 법ㆍ정책 분석
(2) 개발 동향
(3) 추진사례
(4) 현지 주요기업 동향
2) 유형별 동향 분석
(1) 교통
(2) 전자정부 및 플랫폼
(3) 헬스케어
(4) 환경
(5) 에너지
3) 스마트시티 현지 진출전략
(1) SWOT 분석
(2) 유망 분야 및 진출전략
4) 현지 주요 프로젝트
5)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주요 사업자
2. 방콕
1) 스마트시티 정책 및 개발 현황
(1) 스마트시티 시장규모
(2) 스마트시티 관련 법ㆍ정책 분석
2) 스마트시티 추진사례
(1) 태국 도시 사례
(2) 스마트시티 관련 현지 주요 기업 동향
3) 스마트시티 유형별 동향 분석
(1) 교통
(2) 인프라 및 도시시설관리
(3) 에너지 및 환경
(4) 방재 및 안전
(5) 교육, 문화, 사회 등
4) 스마트시티 현지 진출전략
(1) 시장진출 기회 및 장벽 요인
(2) 진출 유망분야 및 진출전략
5) 스마트시티 현지 주요 프로젝트
6)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주요 사업자
3. 이스탄불
1) 스마트시티 정책 및 개발 현황
(1) 스마트시티 추진 배경 및 시장규모
(2) 스마트시티 관련 법ㆍ정책 분석
(3) 관련 연구 및 제3국 협력 사례
(4) 스마트시티 추진 사례
2) 스마트시티 진출 주요 분야별 현황 분석
(1) 스마트 교통 (스마트 모빌리티)
(2) 스마트 에너지
(3) 전자정부(e-Government, 스마트 가버넌스)
(4) 스마트시티 플랫폼
(5) 스마트 공공 안전
3) 스마트시티 현지 진출전략
(1) 시장 진출 기회 및 장벽 요인
(2) 스마트시티 시장 진출 전략
(3) 스마트시티 현지 주요 프로젝트
4. 자카르타
1)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개발 동향
(1) 스마트시티 추진 배경 및 시장규모
(2) 2022년도 스마트시티 시장
(3) 스마트시티 주요 법령 및 정책
(4) 스마트시티 추진사례
(5) 스마트시티 관련 주요 기업
2)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분야별 전망
(1) 인터넷 인프라
(2) IoT 산업
(3) 데이터센터
(4) IT 장비
(5) 전자상거래
(6) 5G 기술
3)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진출전략
(1) 스마트시티 진출전략
(2) 스마트시티 진출 유망 분야
(3) 스마트시티 진출 애로사항
4) 스마트시티 현지 주요 프로젝트
(1) 인도네시아 신수도 프로젝트 (IKN - Ibu Kota Negara)
(2) 전자정부(e-Government) 인프라 강화
(3) 수방시 스마트폴리탄 사업
(4)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성공사례
(5) 스마트시티 관련 해외 차관사업
(6) 중기 발전계획(2020~2024년)에 포함된 스마트시티 관련 사업
5) 스마트시티 사업 정부기관 담당자 및 주요 사업자
(1) 인도네시아 국가 정보통신 기술 위원회(WANTIKNAS) 전문가
(2) 스마트시티 추진 관련기관 및 주요 사업자
5. 하노이
1) 스마트시티 정책 및 개발 분석
(1) 관련 법 및 정책 분석
(2) 개발 동향
(3) 추진사례
(4) 현지 주요기업 동향
2) 스마트시티 유형별 동향 분석
(1) 교통
(2) 인프라, 도시시설관리
(3) 에너지, 환경
(4) 방재, 안전
(5) 교육, 문화, 사회
(6) 부록
3) 스마트시티 현지 진출전략
(1) 시장진출 기회 및 장벽 요인 분석
(2) 유망 분야 및 진출전략
4) 스마트시티 현지 주요 프로젝트
5) 주요 사업자
Ⅵ. 국내외 스마트시티 관련 특허 분석
1. 스마트시티 디지털 트윈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분석
(2) 기술주기 분석
(3) 특허 영향력 분석
2) 국내외 주요 기술 키워드
(1) 기술개발 변화 분석
(2) 기술개발 현황 분석
(3) 기술 집중력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주요 출원인 분석
(2)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특허분석 종합
(1) 분석결과 요약
(2)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2. 스마트시티 디바이스 인증보안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분석
(2) 기술주기 분석
(3) 특허 영향력 분석
2) 국내외 주요 기술 키워드
(1) 기술개발 변화 분석
(2) 기술개발 현황 분석
(3) 기술 집중력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주요 출원인 분석
(2)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특허분석 종합
(1) 분석결과 요약
(2)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3. 도시 화재 관리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분석
(2) 기술주기 분석
(3) 특허 영향력 분석
2) 국내외 주요 기술 키워드
(1) 기술개발 변화 분석
(2) 기술개발 현황 분석
(3) 기술 집중력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주요 출원인 분석
(2)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특허분석 종합
(1) 분석결과 요약
(2)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4.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분석
(2) 기술주기 분석
(3) 특허 영향력 분석
2) 국내외 주요 기술 키워드
(1) 기술개발 변화 분석
(2) 기술개발 현황 분석
(3) 기술 집중력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주요 출원인 분석
(2)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특허분석 종합
(1) 분석결과 요약
(2)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
5. 스마트 빌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분야
1) 국내외 특허 동향
(1) 특허 증가율 분석
(2) 기술주기 분석
(3) 특허 영향력 분석
2) 국내외 주요 기술 키워드
(1) 기술개발 변화 분석
(2) 기술개발 현황 분석
(3) 기술 집중력 분석
3) 국내외 주요 출원인 분석
(1) 주요 출원인 분석
(2) 기술 키워드 및 주요 특허 분석
4) 특허분석 종합
(1) 분석결과 요약
(2) 요소기술 후보군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