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컬러 도판
한국의 독자들에게
서론_본 연구의 목적과 방법
1. 불교미술의 다양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 본 연구의 도상해석학적 방법
3. 본 연구의 구성
제1부_인도의 스투파 신앙과 열반미술
제1장 스투파의 상징성과 그 장식원리
─ 스투파의 조형에서 보이는 ‘사’와 ‘생’의 상징 ─
1. 서론
2. 스투파와 성수 차이티야
3. 스투파와 기둥·우주축
4. 스투파와 자궁·알·항아리
5. 스투파와 사당·천궁·낙원
6. 스투파의 장식원리
7. 스투파=열반의 양의성
제2장 남인도·아마라바티의 열반설화도
─ ‘석가의 마지막 여행’의 설화도 ─
1. 서론
2. 설화도 6장면의 해석
3. 설화도의 특징
4. 설화도의 제작연대와 위치 지정
제3장 간다라 열반도의 독해
─ ‘석가의 죽음’을 주제로 한 설화도의 출현 ─
1. 서론
2. 옆으로 누운 석가
3. 세속의 사람들(말라족)
4. 신들(마왕과 그 딸·범천과 제석천·집금강신·수신·마을의 여신·찬탄하는 신들)
5. 비구들(슬퍼하며 눈물을 흘리는 비구들·아난과 아나율·수파마나·수발·대가섭)
6. 결론
제4장 인도 열반미술의 변천
─ 열반의 상징주의와 설화주의의 상극 ─
1. 초기불교미술에 있어서의 열반미술
2. 간다라의 열반설화도
3. 인도에서의 열반도의 전개
4. 결론
제2부_인도 존상의 두 계열과 미륵보살의 도상
제1장 고대 인도의 브라흐마와 인드라의 도상에 대해
─ ‘성자적·행자적 이미지’와 ‘왕자적·전사적 이미지’ ─
1. 서론
2. 브라흐마와 인드라의 신격
3. 브라흐마의 도상
4. 인드라의 도상
5. 결론
제2장 간다라 삼존형식의 양협시보살의 도상
─ 석가보살·미륵보살·관음보살 ─
1. 서론
2. 간다라 삼존형식의 양협시보살의 도상분류
3. 간다라 보살상의 도상과 존격 - 석가·미륵·관음 -
제3장 간다라 미륵보살의 도상
─ 범천·바라문 행자 도상과의 혼효에 관하여 ─
1. 간다라 미륵보살의 제 특징
2. 간다라 미륵보살의 도상학
3. 결말
제4장 간다라 반가사유의 도상
─ 반가사유상의 출현과 관음보살과의 관계성 ─
1. 서론
2. 불전도에서의 반가사유상
3. 대신변도에서의 반가사유상
4. 불삼존상에서의 반가사유상
5. 단독 반가사유상
6. 결론
제5장 인도 미륵도상의 변천
─ 미륵보살과 관음보살 도상의 전환 ─
1. 서론
2. 쿠샨조 미륵보살상
3. 굽타조-포스트굽타조의 미륵보살상
4. 팔라조의 미륵보살상
5. 결론
제3부 중앙아시아의 미륵과 열반의 도상학
제1장 미륵과 대불
─ 유토피아 세계의 상징으로서의 미륵대불 ─
1. 대불과 인도·중앙아시아·중국
2. 미륵경전과 미륵의 신장
3. 다렐의 미륵대불
제2장 키질 제1기의 볼트천장굴 벽화
─ 선정승·산악구도·미륵보살의 도상 구성 ─
1. 서론
2. 제1기의 볼트천장굴 벽화
3. 선정승과 자연 풍경의 도상
4. 선정승, 산악구도의 모델로서의 ‘제석굴 선정’
5. 산악표현의 특징과 유래
6. 수미산과 동굴
7. 선정승·산악구도와 미륵신앙
8. ‘도솔천상의 미륵보살’ 도상
9. 결론
제3장 키질석굴의 열반미술
─ 간다라 열반도의 계승·변모·전개 ─
1. 키질석굴의 열반미술 개관
2. 정사각형 · 돔굴의 열반도
3. 대상굴의 열반도상-열반공간의 성립
4. 중심주굴의 열반의 도상구성
5. 결말
제4장 중앙아시아 열반도의 도상학적 고찰
─ 애도의 몸짓과 여신신앙의 그림자 ─
1. 서론-서북인도의 후기열반도
2. 바미얀과 둔황 수대의 열반도
3. 애도의 몸짓
4. 판지켄트의 ‘애도의 그림’
5. 중앙아시아의 열반도와 그 배경
제5장 바미얀석굴 천장벽화의 도상구성
─ 미륵보살·천불·장식된 붓다·열반도 ─
1. 서론
2. 서대불의 불감천장벽화-미륵보살의 도솔천 세계
3. 좌불감과 사당굴의 도상구성-미륵보살과 천불구성
4. 미륵보살의 도상
5. 미륵보살·천불·장식된 붓다·열반도
6. 미륵보살과 열반도의 조합
결론
후기
역자 후기
도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