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독자들에게
⚫ 서론
제1장 농업 과학과 사회주의 국가
서론
농업지식과 국가
토와 양
삼결합과 과학 실험 운동의 대두
모범, 네트워크, 그리고 지식
뿌리 뽑힌 토 과학
제2장 푸저룽: 사회주의 과학의 탄생
근현대 중국인 과학자의 전형적인 이야기: 하나의 비틀림과 더불어
사회주의 중국 해충방제학의 초국가적인 세계
토 과학자 만들기
초국가적 세계 속 토의 의미
포스트마오 시기 양과 토의 운명
제3장 위안룽핑: 농민 지식인
마오 시대 사료 속의 위안룽핑
화궈펑 주석과 위안룽핑
포스트사회주의 시대에 다시 쓰인 교잡벼의 역사
유전학자들과 리센코주의자들 사이에서
“농민 지식인”
토 과학과 미국 전자기타의 만남
결론
제4장 중국 농민: ‘경험’과 ‘후진성’
‘노농’의 구성, 노농 지식의 구성
“농업 과학을 장악한 농민들”
기술 변혁의 모호함: 오래된 기술인가, 새로운 기술인가
농촌 공동체의 변혁
결론
제5장 지방 간부처럼 보기
다샤공사: 기층의 관점
하향식과 상향식 사이에서
“인재를 키우다”
자력갱생과 현장의 책임
저항의 수단으로서 자력갱생
농민의 저항에 대처하기
저항과 과학 실험의 의의
제6장 레이펑의 역설
책을 통한 학습을 둘러싼 정치
“내게는 지식이 있었으니까요”
혁명 과학 대 부르주아 과학: 프로파간다의 관점
혁명 과학과 부르주아 과학: 청년들의 관점
부르주아 과학이란 무엇인가: 1978년 이후 청년과 과학의 변화
제7장 기회와 실패
“훌륭한 기회”
기회의 범위와 한계
솔선수범과 인맥 동원
실패
‘실패의 서사’ 재검토하기
에필로그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에서의 적색혁명과 녹색혁명
오늘날의 모범촌락
농민들과 새로운 언어의 정치
중국에서의 식량주권 운동
중국, 전 지구적 식량 운동, 그리고 마오 시대 과학적 영농의 유산
⚫ 감사의 말
⚫ 옮긴이의 말
⚫ 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