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2
영문 서문 - 8
1장. 사라져 아쉬운… 정답고도 눈물겨운 한국의 풍속
고드름은 많아야 풍년… 배고파 먹은 송기죽 - 25
2장. 한민족의 명절과 속절 및 절식
추석·동지·대보름 쇠고… 송편·팥죽·찰밥 장만 - 51
3장. 한민족의 가장 오래된 새해 설날 동지
어른동지에 팥죽 쑤고… 애기동지에는 팥떡 빚어 - 75
4장. 신 대접 방식과 동지를 쇠는 의례로서 팥죽 뿌리기
고수레 같은 음식 올리기… 배려와 존중의 공동체 가치 담겨 - 109
5장. 만두를 먹어야 나이 한 살 더 든다
고대 한국에서 유래한 만두… 강원 중심·연말연시의 음식 - 149
6장. 설날… 떡국을 먹는 것은 태양을 먹는 것
무병장수와 풍년 농사 기원… 차례 전 세배 올리기도 - 191
7장. 대보름… 오곡밥 먹어야 풍년들고 복 받는다
개보름은 보름 전날… 니 더우, 내 더우, 맞더우! - 213
8장. 꽃방맹이 손에 쥐고 화전가 부르던 삼짇날
강남 간 제비 오는 날… 나비 색으로 운세 보기 - 249
9장. 여름철 재액 제거와 건강을 기원했던 단오
푸른빛의 쑥떡을 빚는 날… 수리취떡은 와전의 산물 - 271
10장. 지금은 사라진 풍농 기원의 명절 유두
삿갓에 도롱이 쓰고 유딧제… 부침개, 밀개떡 해 먹는 날 - 313
11장. 자식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이 깃든 칠석
북두칠성에 수명장수 기원… 쌀밥 먹는 날 - 333
12장. 농군의 명절 백중… 호미 씻고 잔치
객사한 망자의 넋을 기리는 날… 경상도·제주에서 성행 - 353
13장. 마한의 시월제와 신라의 가배에서 유래한 추석
송편 빚어 풍년 기원… 한 해 농사의 수고에 감사 - 373
14장. 추석의 대체 명절 중구
햅쌀 안 나면 중구에 차례… 국화떡 빚고 구절초 뜯는 날 - 411
15장. 단군이 하늘에서 내려온 10월 상달
성주·안택고사로 수확 감사·가신 대접… 한민족 민간신앙의 보고 - 431
16장. 춤과 노래로 망자를 떠나보낸 섬사람들의 상·장례 풍속
서남해 지역의 ‘밤다리’… 한민족 품앗이 문화의 총체 - 461
17장. 신에게 올리는 귀한 쌀밥을 일상의 음식으로
끈기 없는 곡물(메성) 선호의 민족적 식감… 쌀밥 주식화의 배경 - 511
18장. ‘맹독성’ 고추 식용이 가져온 붉은색의 매운 김치
고추 닮은 천초 식용의 전통… 김치의 고추 수용 배경 - 549
참고 문헌 - 590
감사 인사 및 후기 - 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