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율장에 대한 이해
I. 율장이란 무엇인가?
II. 현존하는 율장과 계본
1. 현존하는 율장
2. 현존하는 계본
III. 빨리 율장의 구조와 편제
1. 경분별(經分別, Suttavibhaṅga)
2. 건도(犍度, Khandhaka)
3. 부수(附隨, Parivāra)
제2장 바라제목차의 의미와 조직
I. 바라제목차의 의미
II. 바라제목차의 조직
1. 바라이법(波羅夷法, pārājikā-dhammā)
2. 승잔법(僧殘法, saṅghādisesā-dhammā)
3. 부정법(不定法, aniyatā-dhammā)
4. 사타법(捨墮法, nissaggiyā-pācittiyā-dhammā)
5. 바일제법(波逸提法, pācittiyā-dhammā)
6. 바라제제사니법(波羅提提舍尼法, pāṭidesanīyā-dhammā)
7. 중학법(衆學法, sekhiyā-dhammā)
8. 멸쟁법(滅諍法, adhikaraṇamathā-dhammā)
III. 오편(五篇)ㆍ칠취(七聚)의 의미
IV. 바라제목차와 포살의 관계
제3장 바라이법(波羅夷法, pārājikā-dhammā)
제1조 음계(婬戒)
제2조 도계(盜戒)
제3조 살계(殺戒)
제4조 대망어계(大妄語戒)
제4장 승잔법(僧殘法, saṅghādisesā-dhammā)
제1조 고출정계(故出精戒)
제2조 마촉여인계(摩觸女人戒)
제3조 여여인추어계(與女人麤語戒)
제4조 탄신색공양계(歎身索供養戒)
제5조 매가계(媒嫁戒)
제6조 무주작방계(無主作房戒)
제7조 유주작방계(有主作房戒)
제8조 무근방계(無根謗戒)
제9조 가근방계(假根謗戒)
제10조 파승위간계(破僧違諫戒)
제11조 조파승위간계(助破僧違諫戒)
제12조 악성거승위간계(惡性拒僧違諫戒)
제13조 오가빈방위간계(汚家擯謗違諫戒)
제5장 부정법(不定法, aniyatā-dhammā)
제1조 병처부정계(屛處不定戒)
제2조 노처부정계(露處不定戒)
제6장 사타법(捨墮法, nissagiyā-pācittiyā-dhammā)
제7장 바일제법(波逸提法, pācittiyā-dhammā)
제8장 바라제제사니법(波羅提提舍尼法, pāṭidesanīyā-dhammā)
제9장 중학법(衆學法, sekhiyā dhammā)
제10장 멸쟁법(滅諍法, adhikaraṇasamathā-dhammā)
1. 사종쟁사와 멸쟁법
2. 칠멸쟁법의 명칭과 의미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