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우리는 AI를 반만 알고 있다. 9
1부 AI를 이해하는 두 개의 렌즈: 규칙과 데이터
1장 똑똑해질수록 횡설수설해대는 AI 16
2장 왜 규칙과 데이터를 모두 알아야 하는가? 22
3장 뉴로심볼릭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What time is ( )? 26
4장 인공지능의 역사: 잃어버린 반쪽을 찾아서 30
5장 사람처럼 생각하는 AI 35
6장 복잡한 것을 단순하게, 단순화된 것을 심도 있게 40
7장 ‘단순화-심층화’ 루프와 지식의 역사 48
8장 자동 규칙 업데이트: 뉴로심볼릭 AI 장점의 최정점 58
9장 심볼릭 사고의 매력: 현상의 기호적 이해 64
10장 심볼릭 사고의 매력: 언어의 기호적 이해 73
11장 뉴로심볼릭 AI 실전 활용 사례 81
2부 의사결정AI와 뉴로심볼릭
1장 자율적 의사결정의 행복감 88
2장 자율적 의사결정의 크럭스, 추론 96
3장 논리적 따짐이 왜 AI에 중요한가? 103
4장 의사결정의 핵심: 추론과 논증 108
5장 연역, 귀납, 가추, 유추-추론의 네 가지 방식 112
6장 인간지능으로 바라본 인공지능의 추론 116
7장 의사결정 에이전트와 추론 생태계 121
8장 인공지능 전략의 핵심 프레임웍: 지식 X 추론 130
9장 대한민국 인공지능 추월전략, 경험지식의 논리지식화 137
10장 경험지식 활용을 위한 유추 142
11장 새로운 혁신 지식 자산, 전문가 대화 데이터 148
12장 임원이 가진 ‘경험지식’의 힘 152
13장 뉴로심볼릭 사고, 인간지능과 인공지능의 황금균형 159
3부 뉴로심볼릭 AI를 구성하는 핵심 기술과 원리 탐구
1장 심볼릭 AI의 흥망성쇠 168
2장 뉴럴 네트워크 혁명 174
3장 설명 가능성에 대한 갈증 186
4장 퓨처 AI의 등장: 뉴로심볼릭 195
5장 뉴로심볼릭 프로그래밍 212
6장 뉴로-심볼릭 AI의 기술적 융합 219
7장 사례 연구: 뉴로심볼릭 프로젝트 229
8장 뉴로심볼릭 AI에 대한 고민 239
9장 편향의 확산 위험 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