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ter 1 미술심리 진단의 기초
1. 그림으로 마음을 읽는 이유
2. 투사적 그림 검사의 개념과 원리
3. 미술심리 진단의 역사적 배경과 이론적 기초
4. 투사적 검사와 객관적 검사의 차이
5. 미술의 발달 단계와 진단적 의미
chapter 1 그림 검사의 종류와 특징
1. HTP 검사: 내면세계의 구조 읽기
2. KHTP 검사: 관계 속 자아의 움직임 읽기
3. KFD 검사: 가족관계의 심리적 역동성 탐색
4. KSD 검사: 학교 속 작은 세계, 또래의 역동적 관계
5. CCFD 검사: 원 속에 담긴 가족 관계성 읽기
6. AFD 검사: 동물 속에 숨겨진 가족관계의 심리적 의미 찾기
7. ADT: 동물 상징으로 그려낸 내면 탐색
8. FDFT 검사: 바닷속 가족관계 심리 읽기
9. PPAT 검사: 성취와 통제, 심리적 에너지
10. PITR 검사: 빗속에 선 나, 스트레스와 정서 및 대처 능력 읽기
11. FDT 검사: 마음이 머무는 곳을 따라 자유롭게
12. SWT 검사: 별빛과 파도에 실린 감정과 리듬
13. BND 검사: 애착과 보호의 심리적 상징
14. DAS 검사: 이야기 속 장면에 숨은 심리적 진실
15. LMT 검사: 풍경 속 환경의 심리적 탐색
16. WZT 검사: 점과 선, 무의식의 조각을 잇다
17. MDT 검사: 원 안의 자아와 심리적 균형 읽기
chapter 3 미술심리 진단과 임상 적용:
_ 그림속에 담긴 심리적 메시지 해석
1. 미술치료 및 상담에서의 그림 검사 활용
2. 그림의 형식적 요소와 그 심리적 의미
3. 공간 구조의 해석과 상징성
4. 반복, 생략, 강조 표현의 의미: 감정의 왜곡과 밀도
5. 행위 요소 분석: 동작, 시선, 표정, 상호작용
6. 해석 시 주의 사항과 통합적 접근: 오해를 줄이는 통합적 해석
7. 그림 검사와 타 검사와의 연계
8. 임상적 해석 시 유의사항
부록 :
미술심리 진단과 임상 적용: 그림 속에 담긴 심리적 메시지 해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