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러두기 …………………………………………………………………………… 2
머리말 / 이병선…………………………………………………………………… 3
감사의 글 / 박경순…………………………………………………………………5
I. 들어가는 말 17
II. 초대교회 성만찬 이론의 이해 19
A. 복음서적 고찰 19
B. 초대 교부들에 의한 성만찬 이론의 해석 24
1. 해석의 출발 : 2세기 교부들의 초기 해석 24
2. 3세기 성만찬 이론의 발전 26
2-1. 서방교회 26
2-2. 3세기 동방교회 28
3. 희생제사로서의 성찬 개념의 출발 30
C. 초대교회 후기(4~5세기) 성만찬 교리 32
1. 성례전 32
2. 성만찬 이론의 발전 36
3. 실제 변화설(화체설)을 향하여 38
4. 안디옥학파와 알렉산드리아학파 42
5. 어거스틴의 영향 44
D. 희생제사로서의 성찬 (The Eucharistic Sacrifice) 47
E. 교회론 56
III. 중세교회 성만찬 이론의 이해 59
A. 9세기 성만찬 논쟁(Carolingian Eucharist Controversy) 59
B. 11세기 성만찬 논쟁 61
C. 성례전과 칠성사의 안착 63
D. 화체설의 교의화 67
1. 화체설의 의미와 ‘믿음’ 68
2. 화체설에 관한 동시대 의문점들 70
E. 희생적 제사에서 미사로 74
F. 중세 말 신비주의적 그리스도의 몸 77
Ⅳ. 종교개혁 시기 성만찬 논쟁 81
A. 루터, 츠빙글리의 반화체설적 공존 81
1. 마르틴 루터의 공재설 83
2. 츠빙글리의 상징설 87
B. 성만찬 논쟁과 프로테스탄트 진영의 분열(마르부르크 회의) 91
c. 칼뱅의 영적 임재설 100
V. 재침례파의 성만찬 이론과 교회론적 유기성 105
A. 재침례파(The Anabaptists)의 성례론내 성만찬론 105
1. 재침례파의 교회론과 핍박 105
2. 쉴라이타임고백서에 나타난 성례론 109
(침례) 112
(주의 만찬) 114
B. 후기 평화적 재침례파(메노나이트)의 이론 118
VI. 나가는 말 130
1. 해외 서적 136
2. 번역 서적 138
3. 국내 서적 139
찾아보기(INDEX) 140
〈그림 차례〉
이레니우스(Irenaeus of Lyon, 130-202) 11
예루살렘의 키릴(Cyril of Jerusalem, 313-386) 12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1225-1274) 12
Saint Francis with the Blood of Christ by Carlo Crivelli
그리스도의 피를 가진 성 프란시스 14
The Marburg Colloquy, by August Noack 15
메노시몬스(Menno Simons, 1496-156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