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_차례
머리말 5
1부 고대 지중해 세계: 아주 오래된 직업 17
1장. 고대 이집트 의료와 의료인_유성환 19
1. 이집트 전통의학의 특징 20
2. 이집트의 의료종사자 23
3. 이집트의 의학 파피루스 29
4. 이집트 의학의 전승 및 확산 39
2장. 로마의 그리스 의사들_신명주 42
1. 공화정 후기, 그리스 의사들의 로마 진출 45
2. 제정 전반기, 그리스 의사들의 로마 전성시대 53
2부 미국: 의사는 어떻게 전문화되는가 65
3장. 경계를 넘은 의술과 신앙의 이중주 _공혜정 67
1. 두 의학 전통 속 신앙과의 교차점과 식민지 의학 지식 체계 73
2. 치유의 현장: 초자연, 자연, 그리고 의학의 만남 83
3. 부재와 대안 사이에서 95
4장. 슬픈 기적: 죽음, 수술, 소아외과의 탄생 _김일년 104
프롤로그 104
1. 보스턴 107
2. 도호쿠 113
3. 멕시코시티 120
에필로그 128
3부 중국: 국가의료체제를 만들다 129
5장. 자서전을 통해 본 화인(華人) 우롄더(伍連德)의 청말(淸末) 네트워크와 활동 _정혜중 131
1. 의사로의 길 136
2. 엘리트 사회와 만남 140
3. 새로운 시작 149
6장. 외과의사에서 공중보건의 설계자로: 난징국민정부의 공중보건사업과 류루이헝 _최지희 164
1. 류루이헝은 어떤 인물인가? 164
2. 협화의학원에서의 경험과 존 그랜트의 영향 167
3. 난징국민정부의 공중보건사업설계 178
4. 국가의료의 구상 190
4부 한국: 의관, 의생, 그리고 외교사절 197
7장. 조선 후기의 의관(醫官)은 어떻게 환자를 치료했을까 _오재근 199
1. 의관 이수기의 임상 의학, 진단과 치료 202
2. 임상 의학의 근거와 임기응변 213
3. 『동의보감』과 맥증방약 그리고 변증론치 221
8장. 일제시기 식민권력의 통치와 의생 _박지현 230
1. 의생 제도의 성립과 의생 선발시험 233
2. 의생 교육과 평가 그리고 의생회 241
3. 의생에 대한 통치 전략의 다양화 247
9장. “인술외교” 1960~1970년대 남북한 외교 경쟁과 정부파견의사 _정준호 262
1. 비동맹운동과 남북한 외교 경쟁 265
2. 한국의 대아프리카 외교와 정부파견의사 269
3. 의료인력 파견의 상품화 277
더 읽을거리 285
찾아보기 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