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장 좌충우돌 조직문화 업무 일지
1. 신입사원에게 주어진 미션
조직문화 개선 TFT 합류
의사소통 활성화를 위한 팀 빌딩 프로그램 기획
회사의 가치 내재화 프로그램 기획
모두가 김열정 님 처럼?
2. 조직문화를 바꾸려는 노력
이벤트가 전부가 아니었다
이벤트를 넘어서 : 지속 가능한 문화 형성
3. 조직문화를 바꾸는 열쇠
환경을 지배하는 자, 환경에 지배되는 자
조직문화는 결국 리더십
조직이 존재하는 이유
4. 우리가 할 수 있는 영역 vs 우리가 할 수 없는 영역
우리가 할 수 없는 영역
우리가 할 수 있는 영역
5. 조직문화 방정식
2장 환경
1. 조직문화와 환경의 관계
2. 소통이 쉬워지는 공간
제3의 공간
우연한 만남
층고
3. 몰입과 집중을 위한 공간
소음관리
독립된 공간 활용
적절한 조명에 따른 오피스 구성
4. 자율좌석제 성공과 실패
자율좌석제 성공 요인
자율좌석제 정착을 위한 여정
5. 공간이 전략이 될 때
오피스의 위치, 빌딩의 형태, 적정면적
다양한 레이아웃, 오피스에 색을 입히다
규모별 전략
공간 이동이 없는 경우
3장 리더십
1. 리더십의 정의
여전히 내리기 어려운 리더십의 정의
리더십의 진화
2. 조직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리더의 역할
3. 리더십 스타일의 진화
과거의 리더십
요즘 시대의 리더십
4. 다양성 시대의 리더십
5. 리더와 팔로워가 함께 만들어가는 조직문화
4장 일하는 방식
1. 장작없는 불의 운명
조직문화 개선을 위한 변화관리
일하는 방식이란 무엇일까?
2. 대기업의 일하는 방식
대기업의 협업과 집단지성
시간과 공간
3. 기업마다 일하는 방식의 다양성
전 구성원이 참여하여 만든 핵심가치
스스로를 회고하고 주변에 감사하는 문화 확산
성과관리를 위한 소통
학습 문화의 확산
4. 함께 성과를 내는 약속 만들기
일 잘하는 조직의 공통점
일 잘하는 조직문화 실행가이드
조직의 규모에 따른 일하는 방식
개인 차원의 일하는 방식
5장 지속 가능한 조직문화를 위한 끝없는 도전
1. 또다른 팬더믹과 오피스의 변화
2. 경계를 넘는 조직문화
3. 디지털 혁신
조직문화에 AI를 더하다
생성형 AI와 협업 : HR업무 자동화
생성형 AI 활용 사례
4. 불황기 조직문화 대응
5. 미래지향적 조직문화 구축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