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실험실 안전수칙
1.1 실험실의 안전
1.1.1 실험실에서의 위험요소
1.1.2 실험실 안전의 기본
1.1.3 기본규칙
1.1.4 실험실 안전사고 예방대책
1.2 화재의 위험과 화재예방
1.2.1 화재 발생의 조건
1.2.2 화재 예방에 대한 규칙
1.2.3 보호 장비와 소방기구
1.2.4 화재 시 소화활동 절차
1.2.5 실험실에서 화재 시 소화활동
1.2.6 소화기 안전관리 요령
1.2.7 비상 샤워장치
1.3 화학안전
1.3.1 화학약품의 취급
1.3.2 화학물질 유출 처리함
1.3.3 화학물질 안전관리
1.4 전기 안전
1.4.1 전기 작업 시 준수해야 할 규칙
1.4.2 전기안전 작업대책
1.5 응급조치
1.5.1 응급조치를 위해 실험실에서 갖추어야할 장비
1.5.2 상황별 응급조치 내용
1.6 실험실의 폐기물 처리
2장 기본단위(Unit)
2.1 SI Units
2.1.1 SI 기본단위 및 접두사
2.1.2 SI 유도단위
2.1.3 단위환산
3장 유리기구 및 장치
3.1 기초실험기구
3.2 유리 제품
3.3 기타 실험기구류
3.4 반응 장치 및 기구
4장 실험보고서 작성법
4.1 실험보고서 주요내용
4.2 실험보고서 형식
4.2.1 보고서 형식
4.2.2 참고문헌 표기법
5장 흡광광도계 (UV-Vis Spectrophotometer)
5.1 원리 및 적용범위
5.2 장치의 구성
5.3 정량방법
5.3.1 검량선의 작성
5.3.2 정량조건의 검토
6장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6.1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6.2 수질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6.2.1 공통기준
6.2.2 배출허용기준(항목별)
7장 물속의 부유물질(SS) 측정
7.1 부유물질
7.2 부유물질 측정
7.2.1 준비물
7.2.2 실험순서
7.2.3 농도계산
8장철( ) 분석
8.1 철 발생원
8.2 적용 시험방법
8.3 지하수 중의 철( ) 분석
8.3.1 준비물
8.3.2 실험방법
8.3.3 농도계산
9장 질산화시 요구되는 이론적 산소요구량 산정(암모니아성 질소( )의 분석)
9.1 암모니아성 질소의 발생원
9.2 적용 시험방법
9.3 물 속의 암모니아성 질소( ) 분석
9.3.1 준비물
9.3.2 실험방법
9.3.3 농도계산
10장 하수처리장 유출수의 총인( ) 분석
10.1 인( )의 발생원
10.2 적용 시험방법
10.3 하수처리장 유출수의 총인( ) 분석
10.3.1 준비물
10.3.2 실험방법
10.3.3 농도계산
11장 질산화 및 탈질화 공정계획을 위한 총 질소( )의 분석
11.1 총 질소 발생원
11.2 적용 시험방법
11.3 질산화/탈질화 공정의 총 질소( ) 분석
11.3.1 준비물
11.3.2 실험방법
11.3.3 농도계산
12장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
12.1 대기오염물질 배출원
12.2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
12.3 대기오염물질의 구분
12.3.1 가스상 물질
12.3.2 입자상 물질
12.4 배출가스 입자상 물질(먼지) 시료채취
12.4.1 분석기기 및 기구
12.4.2 측정위치
12.4.3 먼지 시료 채취방법
12.4.4 먼지농도의 계산
12.5 배출가스 가스상 물질 시료채취
12.5.1 시료채취 장치의 구성
12.5.2 건조시료 가스 채취량( )의 계산
13장 폐기물 소각로 배출가스의 염화수소( ) 측정
13.1 싸이오사이안산제이수은법
13.2 염화수소( ) 분석
13.2.1 준비물
13.2.2 실험방법
13.2.3 농도계산
14장 화학비료 공장 배출가스 중 암모니아( ) 측정
14.1 인도페놀법
14.2 암모니아( ) 분석
14.2.1 준비물
14.2.2 실험방법
13.2.3 농도계산
15장 화학공장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 ) 측정
15.1 아르세나조
15.2 황산화물( ) 분석
15.2.1 준비물
15.2.2 실험방법
15.2.3 농도계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