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Chapter 1 해수면 상승 ◁
1.1 기후변화(Climate Change)
1.1.1 개요
1.1.2 기후변화의 완화, 적응 및 대응의 의미
1.2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2.1 설립
1.2.2 지금까지의 IPCC 평가보고서
1.3 우리나라 평균 해수면 변동
1.3.1 현재까지의 우리나라 평균 해수면 변동 추이
1.3.2 장래 우리나라 평균 해수면 전망
1.4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해안의 영향과 대응책
1.4.1 해안의 영향 요인
1.4.2 해수면 상승에 대한 해안의 대응책
1.5 해수면 상승에 따른 항만의 영향과 대응책
1.5.1 항만의 영향 요인
1.5.2 기후변화에 대한 항만의 대응책
▷ Chapter 2 연안 레질리언스 ◁
2.1 연안 레질리언스(Coastal Resilience)의 개요
2.1.1 연안 레질리언스 정의
2.1.2 레질리언스(Resilience) 이론의 유래
2.1.3 연안 레질리언스를 평가하기 위한 개념 및 체계
2.1.4 연안에 미치는 압박과 충격(영향)
2.1.5 연안 레질리언스를 구축하기 위한 수단, 장벽 및 협력자
▷ Chapter 3 연안 자연-기반 해법 ◁
3.1 연안 자연-기반 해법(CNbS, Coastal Nature-based Solutions)의 개요
3.1.1 자연-기반 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s)의 정의
3.1.2 연안 자연-기반 해법(CNbS)의 종류와 기능
3.1.3 연안 자연-기반 해법(CNbS)의 원칙, 체계와 결과(CNbS)
3.1.4 시스템 접근 방식(Systems Approach)을 사용한 연안 자연-기반 해법(CNbS)의 계획과 실행
3.1.5 자연-기반 해법(CNbS)의 성능(Performance)
3.1.6 자연-기반 해법(CNbS)의 혜택(이익)과 비용
3.1.7 자연-기반 해법(CNbS)의 적응형 관리
3.1.8 연안 자연-기반 해법(CNbS)의 지형적 구분
3.2 연안 레질리언스를 갖는 해빈과 사구
3.2.1 해빈과 사구의 기능
3.2.2 해빈과 사구의 특징, 혜택(이익) 및 적용
3.2.3 해빈과 사구의 적용에 대한 가치 및 배경
3.2.4 사구와 해빈의 개념적 시스템 이해
3.2.5 해빈과 사구의 목표 및 지표
3.2.6 해빈과 사구의 설계
3.2.7 해빈과 사빈의 실행(입찰, 서식지 조성 등)
3.2.8 해빈과 사구의 적응형 관리, 모니터링, 운영 및 유지 관리
3.3 연안 레질리언스를 갖는 갯벌(연안습지)
3.3.1 개요
3.3.2 갯벌(연안습지)의 기능 정의, 가치 및 적용 맥락
3.3.3 갯벌(연안습지)의 개념적 시스템 이해
3.3.4 갯벌(연안습지) 조성 시 목표, 성능 및 지표
3.3.5 갯벌(연안습지) 조성 시 개념적인 설계 고려 사항
3.3.6 갯벌(연안습지) 조성 시 상세 설계 및 시방서 개발
3.3.7 갯벌(연안습지) 조성 시 고려 사항과 방법
3.3.8 갯벌(연안습지)의 모니터링, 유지보수, 평가 및 적응형 관리
3.4 연안 레질리언스를 갖는 환경적, 사회적 및 공학적 혜택(이익)을 위한 구조적 조치 강화
3.4.1 개요
3.4.2 프로젝트 목적, 목표 및 가치
3.4.3 프로젝트 혜택(이익)
3.4.4 설계 고려 사항
3.4.5 비용 대비 혜택(이익)
3.4.6 계약 및 허가
3.4.7 실행 단계 시 고려 사항
3.4.8 모니터링, 운영, 유지보수 및 관리
▷ Chapter 4 연안 레질리언스 실행사례 ◁
4.1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 도시의 연안 레질리언스 수단과 접근 방식
4.1.1 기후대응 수단
4.4.2 대응에 대한 접근 방식
4.2 연안 레질리언스 실행사례
4.2.1 미국 뉴욕시
4.2.2 미국 뉴저지주의 라이트하우스 센터 해안선 안정화 프로젝트(Lighthouse Center Shoreline Stabilization Project)
4.2.3 아일랜드(Ireland) 마하리스 반도(Maharees Peninsula)의 연안 레질리언스
4.2.4 이탈리아 베니스 석호(Lagoon)의 연안 레질리언스
4.2.5 네덜란드의 연안 레질리언스
4.2.6 우리나라의 연안레질리언스
▷ Chapter 5 해수면 상승과 연안 레질리언스와 관련된 과제와 제언(안) ◁
5.1 해수면 상승에 대한 기술적 과제와 제언
5.1.1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설계조위의 산정방법(안)
5.1.2 예측을 중시한 순응적 사빈 관리와 종합적인 토사 관리
5.1.3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항만기본계획
5.1.4 폭풍해일 대책에 대한 설계조위(‘항만 및 어항 설계기준·해설’)
5.1.5 기후변화에 따른 항만구조물에 대한 대응책의 결정
5.1.6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구조물에 대한 대응책의 결정
5.2 연안 레질리언스에 대한 과제와 제언
5.2.1 과학적 측면
5.2.2 정책적 및 관리적 측면
5.2.3 지역사회 측면
출처
참고문헌